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오프닝벨 행사에 참석해 “우리는 중국과 많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코로나19가 퍼졌을 때 그 관계를 어느 정도 단절했다”며 “그것은 지나친 조치였고, ‘다리를 너무 멀리 건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대(對)중국 강경 일변도였던 트럼프 당선인이 중국의 거센 반발에 태세를 일부 전환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중국에 60% 이상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수차례 언급했고, 대선 승리를 확정지은 뒤에는 내년 1월 취임하자마자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이후 조 바이든 정부도 고대역폭메모리(HBM) 중국 수출을 통제하고 나섰다. 이에 중국은 지난 3일 갈륨, 게르마늄 등 희소금속과 초경질 재료의 대미 수출을 금지했고, 9일엔 엔비디아를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한다고 발표했다. 또 중국 드론 부품 제조업체의 미국과 유럽 출하를 제한하거나 전면 중단했다.中 '핵심광물 무기화' 움직임에…"트럼프, 당근 내밀어"트럼프, 경쟁국에 대화창 열어…시진핑, 내달 취임식 불참할 듯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對)중국 유화 제스처를 취하며 미·중 갈등이 새로운 양상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하기 전에 트럼프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일종의 담판을 짓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트럼프 당선인은 12일(현지시간) CNBC
올해 3분기 미국 가계 순자산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선, 기술주 랠리 등에 힘입어 뉴욕증시가 상승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13일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중앙은행(Fed) 보고서를 인용해 3분기 말 기준 미국 가계 순자산이 전 분기 대비 4조8000억달러(2.9%) 증가한 168조800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전 분기 대비 자산 증가분 중 주식 보유 가치가 3조8000억달러 늘었다. 이는 순자산 증가분의 80%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 9월 Fed가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하고,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 가능성이 부각되며 기업 친화적 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기대감 등이 증시 랠리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3분기 S&P500지수는 잇달아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5.5% 상승했다. 기술주 랠리에 힘입어 나스닥지수도 2.4% 올랐다.부동산 가치는 올해 상반기 오름세를 보였지만 3분기에는 약 2000억달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유동성은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3분기 말 기준 저축예금과 당좌예금, 머니마켓펀드(MMF)를 포함한 가계 및 비영리단체 예금은 전 분기 대비 3795억달러 증가한 18조9000억달러로 집계됐다.블룸버그는 최근 몇 년간 미국 가계가 견고한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양호한 자산 부채 상황과 강력한 임금 상승 덕분에 가계가 성장의 핵심인 소비 지출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이다.안상미 기자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유럽의 암울한 경제 상황을 경고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부각된 데다 업종을 불문하고 성장 동력마저 꺾였다는 판단에서다.라가르드 총재는 12일(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경제 성장이 둔화할 위험이 여전히 더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3분기 여름철 관광업 호황 등 일회성 요인으로 성장 회복세를 보였지만 일시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그는 “최근 지표를 보면 성장 모멘텀이 꺾이고 있다”며 “제조업이 여전히 위축돼 있고 서비스업 성장도 둔화하고 있다”고 말했다.내년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글로벌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라가르드 총재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통상 마찰 위험이 수출과 세계 경제를 약화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성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무역 갈등이 커지면 유로존 인플레이션 전망도 더 불확실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유로존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맏형격인 독일과 프랑스가 잇따른 연정 붕괴을 겪으면서 정치적 혼란마저 가중된 상태다. 유럽 주요 국가의 리더십 공백에 대한 우려와 함께 경제 전망마저도 어두워지고 있다. 독일은 조기 총선 채비에 돌입했고, 프랑스도 총리 임명을 앞두고 국정 운영에 비상에 걸렸다. ING는 “유로존의 부정적인 리스크(위험요인)가 분명히 증가했다”며 “향후 몇 달 동안 미국 경제 정책의 잠재적 악영향과 유로존 최대 2개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런 와중에 다음달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까지 예정돼 있어 ECB 뿐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