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지사 전직원 동원 현장 절전 점검
발전소 최대 출력 운영 땐 고장날 수도
◆전력난 얼마나 심각하나
지난 9일 전력 수요는 7935만㎾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산업부는 12, 13일에는 각각 8050만㎾로 이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예측한 7870만㎾를 180만㎾나 초과하는 올여름 최대 전력 수요다. 반면 전력공급 능력은 7744만㎾에 불과하다. 이에 따른 예비전력(전력공급 능력-전력수요)은 12일과 13일 각각 -306만㎾로 뚝 떨어질 전망이다. 하루 예비전력이 450만㎾를 웃돌아야 안정적인데 이를 한참 밑도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기업체 의무 절전(230만㎾), 휴가 분산(120만㎾) 등을 포함한 갖가지 상시대책을 통해 예비전력을 180만㎾로 끌어올려도 전력경보 단계상 ‘경계(100만㎾ 이상~200만㎾ 이하)’ 수준에 그친다. 426개 기업체가 비상대책인 긴급절전(150만㎾)을 실시하고, 전압 하향조정(70만㎾), 화력발전소 최대출력 운전(40만㎾)을 해야 겨우 예비전력을 420만㎾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발전소 최대 출력 운전으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윤 장관은 “발전기에 무리가 따를 수 있다”고 털어놨다. 실제 한국동서발전이 운영하는 일산 열병합발전소(10만㎾) 가스터빈 일부가 지난 10일 고장을 일으켜 가동 중단됐다 하루 만에 재가동되기도 했다.
◆첫 긴급절전 시행할 수도
예비전력이 100만㎾대로 낮아지면 긴급절전이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긴급절전은 9·15 순환단전에 따라 2012년 도입한 제도다. 순간 최대전력 3000㎾(계약전력) 이상을 사용하는 426개 기업체와 한전이 사전에 맺어놓은 약정으로 순환단전을 막기 위한 최후의 보루다.
긴급절전 대상은 주로 전기 사용량이 많은 철강 시멘트 화학 제지업체다. 정부는 긴급절전으로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 업체에 ㎾당 3000원을 보상해주기로 했다.
긴급절전은 의무절전 규제와는 별개의 비상조치다. 의무절전 대상기업은 계약전력 5000㎾ 이상 2637개 업체로 감축기간은 이달 5~30일이다. 지난 5월30일~6월14일 10일(평일)동안 사용한 하루평균 전력량 대비 3~15%를 감축하는 것이다.
이런 대책마저 효과를 보지 못하면 순환단전을 해야 한다. 최대 전력 수요를 충족하고 남은 예비전력이 100만㎾를 5분 이상 밑돌 때 전력공급을 한시적으로 끊는 조치다.
단전 1순위는 주택·아파트와 일반 상가, 2순위는 다중이용시설과 산업공단, 3순위는 양식장 등이다. 순환단전은 ‘블랙아웃(대정전)’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한전 직원 상주시켜 절전
한전은 11일 전국 180개 지사에 총동원령을 내렸다. 계약전력 3000㎾ 이상인 1만4000개의 전력다소비 기업체 사업장과 빌딩 등에 지사 전 직원(1만2000명)을 상주시키며 절전을 독려하기로 했다. 이런 비상 동원령이 내려진 것은 한전이 생긴 이후 처음이다.
한전은 100~3000㎾ 전력소비처에는 콜센터 전화로, 10㎾ 이상은 SMS(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절전 동참을 호소할 방침이다. 정부는 예비전력이 200만㎾ 이하로 떨어질 경우 민방위 사이렌도 울릴 계획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