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정부 당국은 지난 6일 샌프란시스코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214편 착륙 사고의 원인 규명에 들어갔다.

미 조사 당국인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의 빌 잉글리시 사건조사팀장은 “블랙박스를 분석하고 조종사에 대한 조사 등을 거쳐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는 몇 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 언론들은 조종사 과실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공항 관제시스템 미비, 기체 결함 등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충돌 7초 전에 무슨 일이

데버러 허스먼 NTSB 위원장은 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기장이 충돌 직전에 착륙을 포기하고 기수를 상승시키려고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허스먼 위원장에 따르면 조종석 녹음 기록을 예비 분석한 결과, 비행기 꼬리 부분이 방파제에 충돌하기 7초 전까지는 모든 것이 정상이었다.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에서 기체 결함이나 활주로 접근 이상 징후 등에 관한 것은 없었다.

충돌 7초 전에 조종사 중 한 명이 속도를 높이라고 외쳤다. 착륙 때 지정된 속도 137노트(시속 약 253㎞)보다 상당히 낮은 속도였다고 허스먼 위원장은 설명했다.

충돌 4초 전에 조종간에 부착된 ‘스틱 셰이커(stick-shaker)’가 크게 떨렸다. 비행 속도가 너무 낮아 추락하고 있다는 경고였다.

충돌 1.5초 전에 조종사들은 착륙을 포기하고 엔진을 가속시켜 기수를 상승시키는 ‘go-around’ 결정을 내렸다. 이와 관련, 조종사들은 한국 조사관들과의 면담에서 “출력 레버를 당겼지만 안 올라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스먼 위원장은 “충돌 직전에 조종사로부터 어떤 구조요청 신호도 없었다”고 밝혔다.

◆미 언론, “조종사 과실 가능성”

NTSB의 초동 조사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는 매우 느린 속도로 활주로에 진입하다가 중심을 잃고 활주로 방파제에 충돌한 것으로 추정된다.

존 콕스 항공안전컨설턴트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조종사들은 오랜 비행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라며 “왜 저속으로 비행했고 충돌 직전까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느냐가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단서”라고 말했다. 조종사의 과실, 기체 결함, 공항 관제시스템 미비 등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CNN은 조종사가 샌프란시스코공항 착륙 경험이 많지만 보잉777 기종으로는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보도했다.

◆“모든 가능성 다 열어놔야”

허스먼 위원장은 기장의 과실로 단정하긴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조사는 한참 멀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종사의 피로, 비행기의 엔진 장치 결함, 공항 관제시스템 미비 등 모든 퍼즐을 다 맞춰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동진 한서대 항공기계학과 교수는 “1.5초 전에 기수를 올리려고 했다고 해서 조종사 실수로 단정할 수는 없다”며 “바다와 활주로가 붙어 있는 공항이어서 특정 지역에서 난기류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공항의 자동 착륙유도 장치인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가 꺼져 있었던 것으로 확인돼 공항 관제시스템 미비가 사고로 연결됐을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비행기가 활주로에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들어오도록 유도하는 이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조종사는 시계 비행으로 착륙해야 한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홍선표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