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개성공단 실무회담에서 적극적인 태도로 협상에 임했다. 우리 측 회담 수석대표를 맡은 서호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7일 “북한 측이 매우 적극적으로 개성공단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개성공단 사태 발생 초기에는 공단을 폐쇄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봤지만 이번에 대화에 나서는 자세로 봤을 때 북한 지도부가 개성공단 문제를 풀어보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국가노선으로 채택한 ‘핵·경제 개발 병진노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성공단이 중요한 관문”이라고 지적했다. 핵 개발과 경제 개발을 함께 추진한다는 ‘병진노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외부 사회 자본 유치가 가장 중요하다. 개성공단은 북한의 유일한 경제협력 성공모델이었다는 점에서 앞으로 북한이 외자 유치와 경제특구 개발을 추진하려면 개성공단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내부적 필요가 컸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개성공단을 통해 올리던 연간 9000만달러에 달하는 근로자의 임금 수익이 중단됐다는 점도 북한 당국을 압박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외교적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북한은 지난해 말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올 2월 제3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으며 외교적 고립상태에 처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국, 한국, 미국에 대한 대화공세를 펼쳤지만 별다른 소득을 거두지 못했다.

정부 당국자는 개성공단 사태에 대해 “단순히 남북 간의 일이 아니라 개성공단 문제를 통해 북·미관계, 북·중관계, 6자회담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이 남한과의 관계 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북한이 개성공단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도록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