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들의 예금-대출금리 인하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익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대응 전략마저 부재해 저금리와 불황에 취약한 천수답 구조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하나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금리가 기존 2.9%에서 2.8%로 0.1%p 인하됐습니다.



적금은 1년제의 경우 3.1%에서 3%로 0.1%p를. 2년제와 3년제는 0.3%p 내렸습니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를 반영해 지난주 신한과 농협, 우리은행 등에 이어 예금금리 인하가 줄을 잇고 있는 것입니다.



대출금리도 마찬가지. 신규 취급의 경우 코픽스와 CD금리 연동으로 변동폭에 따라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05%에서 0.14%p 내렸습니다.



전반적으로 은행들의 대출금리 인하 폭은 기준금리 인하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은행들은 금리가 선반영됐다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예대마진 축소를 어떻게 든 줄여 보려는 일환으로 풀이합니다.



지난해부터 이익이 40% 이상 급감한 데다 불황 속에 대출마저 고민스러운 시기이고 대출해 준 곳은 부도가 나는 등 엎친 데 덮친 격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수신이 큰 폭으로 빠져나간 것 역시 단기 계절적 요인으로 볼 수도 있지만 사실상 은행들이 수신감소에 묘안이 없어 손을 놓고 있는 것입니다.



<인터뷰> 금융권 관계자

“(수신) 줄인 게 아니라 줄었지만 방치하고 있다는 것. 그만큼 좋지 않다라는 것"



저축은행들은 구조조정으로 대부분 문을 닫는 등 자금수요 압박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저금리 기조에서 금리차를 이용한 이자놀이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 성과를 올려야 하지만 딱히 전략이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전략이라는 것이 금리에 따라 순간순간 움직이는 것이라서 그런 것(전략) 따로 없다”



이전이라면 은행들이 이익 감소분을 각종 수수료로 전가할 수도 있겠지만 새 정부가 갓 출범한 데다 여론의 눈치만 보느라 이마저도 여의치 않습니다.



<인터뷰> 금융권 관계자

“물론 은행들 이익 적극 늘리겠다고 나서기 어렵고 새 정부 출범한지 얼마 안돼서”



은행들의 덩치가 큰 점도 수익성을 만회하기 어려운 점으로 꼽힙니다.



은행 자산을 합치면 2천조 규모, 비중이 7~80%인 이자자산 부문만 1천500조 규모입니다.



예를 들어 0.1%p만 마진이 빠져도 1조5천억원이 날아가는 셈이어서 대규모 IB 비즈니스를 한다해도 보충하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나마 전북은행, BS, DGB 등은 제2금융권 진출로 일부 만회할 수 있겠지만 자산 300조가 넘는 신한과 국민, 우리, 하나은행 등은 내밀 카드 조차 없는 셈입니다.



해외 진출로 예대마진 외에 추가 이익을 낸다면 모를 까. 국내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전무하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입니다.



순이자마진 급락, 가계부채, 부실기업 등 총체적인 난국에서 조직슬림화 등 자구노력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외환위기 후 최대 위기를 맞은 은행들의 출구 찾기는 요원할 따름입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별 만삭 사진 공개 "배가 수박만해졌어요" 어떻길래?
ㆍ잠자는 자세로 파악하는 성격 "한 자세로 못자면?"
ㆍ美 경찰, 윤창중 체포영장 예정‥"미국에 빨리 가서 조사받아라"
ㆍ한소영 신체나이 18세… 최강 S라인 ‘슬래머’ 감량비결은
ㆍ민간소비 부진‥부동산 침체·주식시장 부진 탓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