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법 개정안 통과…증권업종 주가 영향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우증권은 10일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국회 정무위원회 통과로 대형 증권사들의 할인 요인이 완화되고 거래소 지분 보유 증권사의 지분가치가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증권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투자의견과 삼성증권,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를 최선호종목으로 유지했다.
정길원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전날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의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통과됐다"며 "기준 하향의 가능성이 언급되던 투자은행의 자기자본의 한도는 3조원으로 유지됐고 투자은행의 건전성 규제 관련 내용이 일부 보완(대출 및 신용공여의 규모를 자기자본의 200%에서 100%로 낮추고, 동일 차주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 부여 등) 된 점을 제외하면 원안과 대동소이하다"고 밝혔다.
여야간 합의에 의해 소위를 통과했으므로 향후 정무위원회 전체회의(10일)와 법제사업위원회의 심의, 국회 본회의(4월 중) 등의 잔여 과정 등은 무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대형IB 육성을 위해 자본요건을 갖춘 증권사에게 기업 대출 등 신규업무 허용, 대체거래소(ATS)를 도입해 자본시장의 인프라를 개혁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상위 증권사들은 대규모 증자를 단행한 바 있다.
우선 단기적으로 대형사에 대한 상징화된 할인 요인이 완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3조원이라는 자본규제는 향후 신규사업이 과점체제로 변모한다는 의미"라며 "ELS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형사의 시장개척 → 후발사의 진입과 가격경쟁 → 수익성 훼손이라는 악순환 고리가 이제는 끊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법 통과를 전제로 대형사들은 2011년 대규모 증자를 단행했지만 자본시장법 개정이 표류하면서 상징적인 할인 요인이 됐다. '증자대금 = 게으른 돈(Idle Money)'이라는 비판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레버리지 확대를 기대했으나 자본만 늘어난 '역 레버리지 상황에 대한 비판'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대체거래소(ATS) 도입으로 거래비용 감소와 거래소 지분 보유 증권사의 지분가치가 부각될 전망이다.
ATS 도입으로 증권 거래에 있어 경쟁체제가 형성돼 제반 거래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거래소의 기업공개(IPO)도 가능해졌다. 현재 거래소는 공공기관으로 지정돼 있어 IPO가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 지난 1월 말 공공기관 지정 해제 가능성이 있었으나 독점 기능의 해소가 전제돼야 한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개정안에 담겨 있는 ATS 도입은 거래소 기능의 독점구조가 해체된다는 의미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전세계 거래소 중 비상장 상태에 놓여있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고, 글로벌 환경(상품 다양화, 거래소 대형화 등)을 고려하면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지적했다. 일본 동경거래소 마저도 지난 1월 상장을 마무리했다.
흥미로운 것은 주요 거래소의 밸류에이션이다. 그는 홍콩거래소는 주가순자산비율(PBR) 15배(증자 전), 싱가폴거래소 8배, 최근 상장한 일본 거래소도 낮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4배를 넘나든다며 이는 높은 자기자본이익률(ROE), 독점적 지위, '제로'에 가까운 디폴트 리스크 등이 중첩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향후 진전 추이에 따라 지분보유 증권사들 자산가치에 있어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는 결국 ROE로 대변되는 자본효율성의 제고가 궁극의 과제라며 자산이 늘거나 이익률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 두가지 모두 법개정이 즉시 담보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는 자산이 늘어나는 효과(즉 금융상품 판매의 확대 또는 대출자산의 증대를 통해)는 장기적일 것이고, 자본요건의 강화로 인한 신규 사업에서의 경쟁완화 → 마진 상승 역시 단기적인 기대의 영역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다만 당분간 증권업종의 주가 변수로 실적 보다는 정책 방향성이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본시장법의 개정 뿐 아니라 미뤄진 정책 이슈들이 진전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금융정책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지난 주 금융위원회의 대통령 업무보고 내용은 실물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및 자본시장의 역할 강화, 미뤄진 민영화의 조속한 추진으로 압축할 수 있다며 모두 증권사들의 장기적인 수익성과 지배구조에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들이라고 했다.
그는 증권업종의 밸류에이션은 PBR 0.8배 수준으로 경험적으로는 강한 하방경직성을 보유하고 있다며 우호적인 정책 환경, 구조 조정에 대한 기대감 등도 주가 방어에 기여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정길원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전날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의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통과됐다"며 "기준 하향의 가능성이 언급되던 투자은행의 자기자본의 한도는 3조원으로 유지됐고 투자은행의 건전성 규제 관련 내용이 일부 보완(대출 및 신용공여의 규모를 자기자본의 200%에서 100%로 낮추고, 동일 차주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 부여 등) 된 점을 제외하면 원안과 대동소이하다"고 밝혔다.
여야간 합의에 의해 소위를 통과했으므로 향후 정무위원회 전체회의(10일)와 법제사업위원회의 심의, 국회 본회의(4월 중) 등의 잔여 과정 등은 무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대형IB 육성을 위해 자본요건을 갖춘 증권사에게 기업 대출 등 신규업무 허용, 대체거래소(ATS)를 도입해 자본시장의 인프라를 개혁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상위 증권사들은 대규모 증자를 단행한 바 있다.
우선 단기적으로 대형사에 대한 상징화된 할인 요인이 완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3조원이라는 자본규제는 향후 신규사업이 과점체제로 변모한다는 의미"라며 "ELS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형사의 시장개척 → 후발사의 진입과 가격경쟁 → 수익성 훼손이라는 악순환 고리가 이제는 끊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법 통과를 전제로 대형사들은 2011년 대규모 증자를 단행했지만 자본시장법 개정이 표류하면서 상징적인 할인 요인이 됐다. '증자대금 = 게으른 돈(Idle Money)'이라는 비판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레버리지 확대를 기대했으나 자본만 늘어난 '역 레버리지 상황에 대한 비판'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대체거래소(ATS) 도입으로 거래비용 감소와 거래소 지분 보유 증권사의 지분가치가 부각될 전망이다.
ATS 도입으로 증권 거래에 있어 경쟁체제가 형성돼 제반 거래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거래소의 기업공개(IPO)도 가능해졌다. 현재 거래소는 공공기관으로 지정돼 있어 IPO가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 지난 1월 말 공공기관 지정 해제 가능성이 있었으나 독점 기능의 해소가 전제돼야 한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개정안에 담겨 있는 ATS 도입은 거래소 기능의 독점구조가 해체된다는 의미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전세계 거래소 중 비상장 상태에 놓여있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고, 글로벌 환경(상품 다양화, 거래소 대형화 등)을 고려하면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지적했다. 일본 동경거래소 마저도 지난 1월 상장을 마무리했다.
흥미로운 것은 주요 거래소의 밸류에이션이다. 그는 홍콩거래소는 주가순자산비율(PBR) 15배(증자 전), 싱가폴거래소 8배, 최근 상장한 일본 거래소도 낮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4배를 넘나든다며 이는 높은 자기자본이익률(ROE), 독점적 지위, '제로'에 가까운 디폴트 리스크 등이 중첩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향후 진전 추이에 따라 지분보유 증권사들 자산가치에 있어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는 결국 ROE로 대변되는 자본효율성의 제고가 궁극의 과제라며 자산이 늘거나 이익률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 두가지 모두 법개정이 즉시 담보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는 자산이 늘어나는 효과(즉 금융상품 판매의 확대 또는 대출자산의 증대를 통해)는 장기적일 것이고, 자본요건의 강화로 인한 신규 사업에서의 경쟁완화 → 마진 상승 역시 단기적인 기대의 영역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다만 당분간 증권업종의 주가 변수로 실적 보다는 정책 방향성이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본시장법의 개정 뿐 아니라 미뤄진 정책 이슈들이 진전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금융정책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지난 주 금융위원회의 대통령 업무보고 내용은 실물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및 자본시장의 역할 강화, 미뤄진 민영화의 조속한 추진으로 압축할 수 있다며 모두 증권사들의 장기적인 수익성과 지배구조에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들이라고 했다.
그는 증권업종의 밸류에이션은 PBR 0.8배 수준으로 경험적으로는 강한 하방경직성을 보유하고 있다며 우호적인 정책 환경, 구조 조정에 대한 기대감 등도 주가 방어에 기여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