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의 예금계좌 가압류 조치는 금호산업 베트남 법인인 금호아시아나플라자사이공(KAPS) 잔여지분 50%를 담보로 잡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KAPS에 대한 대출금 중 절반(300억원)을 당장 상환할 수 없다면 담보라도 내놓으라는 것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금호산업이 KAPS 지분 50%를 매각해 600억원 이상의 현금을 쥐었기 때문에 이 중 일부로 빚을 갚든지 아니면 나머지 지분을 담보로만 제공하라는 것”이라며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사로서 언제까지 희생만 할 수 없다”고 했다.
통상 워크아웃 기업의 경우 채권단이 대출금 상환을 유예하거나 채무를 면제해준다. 다만 우리은행이 금호산업에 빌려준 KAPS 지분 출자금 600억원은 채권단 협약채권이 아닌 별도의 비협약채권이어서 상환 및 담보 제공 요구가 가능하다.
산은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채권단이 수년간 금호산업 회생을 위해 출자전환 등 큰 희생을 치렀는데 우리은행만 돈을 빼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산은 관계자는 “금호산업 정상화 추진 작업이 악화되거나 무산될 경우 우리은행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호산업 예금 계좌 가압류 문제로 인해 그동안 봉합됐던 우리은행과 산은 간의 갈등도 다시 불거지게 됐다. 우리은행과 산은은 지난해 7월부터 금호산업의 부천 중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분양 수입금 배분을 놓고 신경전을 벌여 왔다. 작년 말 우리은행이 산은에 금호산업 주채권은행 자리를 넘기고 경영 정상화에 합의한 뒤에야 두 은행 간 갈등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하지만 이번 예금 계좌 가압류로 인해 해묵은 갈등이 다시 터져나오게 됐다.
문제는 예금 계좌가 동결되면 금호산업은 운영자금 사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이다. 대외신인도 하락에 따른 영업 타격 및 연쇄 가압류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금호산업은 지난달 자금난 해소를 위해 KAPS 지분 50%를 매각한 데 이어 7 대 1 감자도 추진 중이다.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해서다. 채권단 관계자는 “금호산업의 유동성 악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우리은행과 산은의 대승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우리은행이 먼저 가압류를 풀고 채권단과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당장 예금 계좌 활용을 못하게 된 금호산업은 크게 당황하는 분위기다. 금호산업 관계자는 “가뜩이나 부동산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자금 집행에 차질을 빚게 됐다”며 “우리은행과 산은의 협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창민/이상은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