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심 강한 인도 근로자에겐 한국인보다는 현지인 관리자를 둬라. 비가 오면 물건값이 달라질 정도로 거래가 불투명하니 구매는 반드시 직접 챙겨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4일 인도 시장에 안착한 국내 중소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인도 시장 진출 10계명’ 보고서를 발간했다.

인도는 2006~2010년에 연평균 8.1% 성장하며 브릭스(BRICs) 국가 중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향후 소비를 주도할 청년인구 비중이 중국(16.8%)보다 높은 19.2%에 달해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진출이 필요한 유망 시장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인도는 1991년 개혁·개방 정책을 도입한 이후에도 가족주의와 지역주의 문화가 여전히 남아 있다. 때문에 기업이 마케팅에 직접 뛰어드는 것보다는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들과 신뢰를 쌓는 활동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일례로 인도에 2005년 진출한 무역업체 S사는 빈민 아동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활동을 하면서 수출이 크게 늘었다.

현지에 공장을 세우고 기술 지원과 애프터서비스(AS)를 철저히 하는 것도 필요하다. 내구재는 고장이 잦은 탓에 인도인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AS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인도 내에서 생산·판매·수리까지 모두 처리, 소비자에게 ‘우리 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한국인을 영업 담당자로 두기보다는 현지인을 고용해 소비자에게 친숙한 문화와 언어로 제품을 팔고, 인도인 근로자들의 잦은 지각과 결근에 대비해 대체인력을 상시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인도 내에서 유통 중인 중국산 제품이 한국 제품보다 5~20%가량 가격이 낮으므로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보고서가 소개한 인도 진출 10계명은 △현지 신뢰 구축 △원천기술로 승부 △철저한 현지화 △합작투자시 각별한 주의 △미리 진출한 일본 기업 공략 △적극적인 영업전략 △거래시 안전장치 확보 △한·인도 CEPA 활용 △꼼꼼한 경영관리 △대체인력 확보 등이다.

송송이 무협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인도인 사이에서 직접 경험하며 부딪쳐야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