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中企대출 실질연체율 3% 육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장기불황 여파…국민 2.96%, 우리銀 2.83%
신규대출 심사 강화하고 상환 요구 커질 듯
신규대출 심사 강화하고 상환 요구 커질 듯
경기 침체 영향으로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최근 들어 급등하고 있다. 특히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대손 상각 전 중소기업 대출 ‘실질 연체율’이 3%에 육박하는 등 비상등이 켜졌다. 시중은행들은 내년 경제 상황이 더 악화할 것으로 보고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급전이 필요한 중소기업들이 은행을 이용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중소기업 리스크 관리 비상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민,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실질 연체율은 각각 2.96%, 2.83%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말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국민은행 68조4302억원, 우리은행 56조270억원으로 한 달 동안 두 은행에서 연체한 대출 원금은 총 3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중소기업 대출 실질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는 것은 영업난으로 이자조차 갚기 어려운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경기 회복 시점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6월 이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는 추세다.
특히 우리은행은 전통적으로 기업 대출 비중이 크고, 국민은행은 중소기업 고객 중 과거에 일으켰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최근 부실화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업은행은 전체 중소기업 대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를 넘지만 실질 연체율은 10월 말 기준 1.85%에 불과하다. 다년간 중소기업 전문 은행으로서 리스크 관리 노하우를 축적한 덕이 크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중소기업 대출에 대해 대대적인 리스크 관리 강화에 나섰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는 중소기업 대출 심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부실 중소기업을 다른 은행에 떠넘기려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대출 더 힘들어질 듯
신규 대출이 어려워진 점도 실질 연체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 대출을 꺼리고 기존 대출은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며 “유동성 확보가 어려워진 중소기업이 은행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이 위험관리 차원에서 대출 심사를 강화하면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총액 증가가 급격히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중은행들은 실질 연체율 상승과 관련,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에 당장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대손상각을 통해 계속해서 부실 대출을 털어내고 있다”며 “은행권 전체 표면 연체율도 아직 10월 기준으로 1.77%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장기화하면 기업 대출 부실이 중장기적으로 은행의 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 실질연체율
은행의 대출 자산 중에서 하루 이상 연체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 금융감독원이 매달 발표하는 연체율과 달리 대손상각 이전의 연체율을 의미한다. 대출금 중 실제로 부실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중소기업 리스크 관리 비상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민,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실질 연체율은 각각 2.96%, 2.83%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말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국민은행 68조4302억원, 우리은행 56조270억원으로 한 달 동안 두 은행에서 연체한 대출 원금은 총 3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중소기업 대출 실질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는 것은 영업난으로 이자조차 갚기 어려운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경기 회복 시점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6월 이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는 추세다.
특히 우리은행은 전통적으로 기업 대출 비중이 크고, 국민은행은 중소기업 고객 중 과거에 일으켰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최근 부실화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업은행은 전체 중소기업 대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를 넘지만 실질 연체율은 10월 말 기준 1.85%에 불과하다. 다년간 중소기업 전문 은행으로서 리스크 관리 노하우를 축적한 덕이 크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중소기업 대출에 대해 대대적인 리스크 관리 강화에 나섰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는 중소기업 대출 심사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부실 중소기업을 다른 은행에 떠넘기려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대출 더 힘들어질 듯
신규 대출이 어려워진 점도 실질 연체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 대출을 꺼리고 기존 대출은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며 “유동성 확보가 어려워진 중소기업이 은행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이 위험관리 차원에서 대출 심사를 강화하면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총액 증가가 급격히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중은행들은 실질 연체율 상승과 관련,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에 당장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대손상각을 통해 계속해서 부실 대출을 털어내고 있다”며 “은행권 전체 표면 연체율도 아직 10월 기준으로 1.77%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장기화하면 기업 대출 부실이 중장기적으로 은행의 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 실질연체율
은행의 대출 자산 중에서 하루 이상 연체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 금융감독원이 매달 발표하는 연체율과 달리 대손상각 이전의 연체율을 의미한다. 대출금 중 실제로 부실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