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한계 상장 기업을 미리 찾아내 자구책을 요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한국거래소 고위 관계자는 11일 “2009년 도입한 상장폐지 실질심사제를 통해 부실기업을 증시에서 많이 걸러냈다”며 “앞으로는 한계기업을 미리 찾아 자구(自救) 이행 기간을 주고 정상화를 주문하는 식으로 시장 건전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내년 핵심 사업 중 하나로 ‘한계기업에 대한 선제적 실질심사 및 경영 정상화 지원’을 꼽고 구체적 실행 방안을 마련 중이다. 내년에도 경기 회복이 불투명해 부실 상장사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판단, 상장폐지 실질심사까지 가기 전에 환부를 선제적으로 도려내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부실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 유형을 분석해 한계기업 조기 적출 기준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면 △단기 차입금 급속 증가 △매출 대비 지급 이자 비중 과다 △각종 이익률, 부채비율 등 악화 △불량채권 누적 △각종 자산 긴급 매각 △거래금융회사 변경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이날 거래소와 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올 들어 3분기까지 영업에서 벌어들인 돈으로 금융이자도 갚지 못하는 기업이 작년 동기보다 16.9% 늘어났다.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631개를 대상으로 3분기 누적 이자보상배율을 구한 결과 1 미만인 회사가 166개사로 전년 동기보다 24개(16.9%)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3분기 누적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4.90배로 전년(5.14배)보다 0.24포인트 감소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