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기업 때려 '한 건' 하겠다는 국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현석 산업부 기자 realist@hankyung.com
“삼성 스마트폰, 세계 평균보다 국내 평균 판매가가 2.5배 이상 비싸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전병헌 의원(민주통합당)은 지난 7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삼성 스마트폰의 세계 평균 판매가는 31만1000원인데, 국내 이동통신사를 통한 출고가는 79만7000원이란 내용이었다.
이 내용은 ‘삼성 스마트폰이 국내에서 2.5배 비싸게 팔린다’는 뉴스로 퍼져 나갔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가 갤럭시S3를 한국에선 79만원에, 다른 나라에선 31만원에 판매하는 것으로 오인하게 됐다.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업계의 지난해 지역별 평균 판매가(시장 조사업체 SA)를 찾아봤다. 중동·아프리카는 274달러였고 △아시아 301달러 △서유럽 362달러 △북미 401달러 등 지역별로 크게 차이가 났다. 당연했다. 지역별로 판매하는 모델이 다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도 마찬가지다.
한국 시장은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다. 첨단 제품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프리미엄급만 찾는다. 판매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의 보급형 제품인 ‘갤럭시M스타일’은 지난 1월 나왔지만 판매 대수가 1만대도 안 된다. 자급제가 실시된 뒤 약정없이 40만원대에 살 수 있지만, 찾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다. 반면 세계 시장엔 저가형, 보급형 등 수십 가지 종류를 판다. 지난 3월 방문했던 인도에선 100달러대 초반의 저가형 갤럭시웨이브y가 가장 많이 팔리고 있었다.
전 의원 측도 이런 사실을 안다. 전 의원 사무실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보급형 제품은 광고 판매 등에 신경쓰지 않는다”며 “시장 상황을 이렇게 만든 삼성전자와 이통사들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갤럭시S3의 경우도 보조금 등을 감안하면 국내외 가격차가 크지 않다는 사실도 인정했다.
시장이 찾는 제품을 내지 않으면 한 순간에 무너지는 게 기업이다. 2년 전 위기에 처했던 삼성전자가 되살아난 건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내놓은 덕분이다. 통신 시장을 바람직한 구조로 만들고 건전한 경쟁을 이끌어낼 책임은 방통위 등 국가기관에 있다.
매년 국감 시즌은 정치인들의 ‘한탕주의’가 판을 치는 ‘정치의 계절’이다. 기업으로 하여금 시장이 원하는 제품을 개발해 많이 팔고,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그냥 놔뒀으면 좋겠다.
김현석 산업부 기자 realist@hankyung.com
이 내용은 ‘삼성 스마트폰이 국내에서 2.5배 비싸게 팔린다’는 뉴스로 퍼져 나갔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가 갤럭시S3를 한국에선 79만원에, 다른 나라에선 31만원에 판매하는 것으로 오인하게 됐다.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업계의 지난해 지역별 평균 판매가(시장 조사업체 SA)를 찾아봤다. 중동·아프리카는 274달러였고 △아시아 301달러 △서유럽 362달러 △북미 401달러 등 지역별로 크게 차이가 났다. 당연했다. 지역별로 판매하는 모델이 다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도 마찬가지다.
한국 시장은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다. 첨단 제품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프리미엄급만 찾는다. 판매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의 보급형 제품인 ‘갤럭시M스타일’은 지난 1월 나왔지만 판매 대수가 1만대도 안 된다. 자급제가 실시된 뒤 약정없이 40만원대에 살 수 있지만, 찾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다. 반면 세계 시장엔 저가형, 보급형 등 수십 가지 종류를 판다. 지난 3월 방문했던 인도에선 100달러대 초반의 저가형 갤럭시웨이브y가 가장 많이 팔리고 있었다.
전 의원 측도 이런 사실을 안다. 전 의원 사무실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보급형 제품은 광고 판매 등에 신경쓰지 않는다”며 “시장 상황을 이렇게 만든 삼성전자와 이통사들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갤럭시S3의 경우도 보조금 등을 감안하면 국내외 가격차가 크지 않다는 사실도 인정했다.
시장이 찾는 제품을 내지 않으면 한 순간에 무너지는 게 기업이다. 2년 전 위기에 처했던 삼성전자가 되살아난 건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내놓은 덕분이다. 통신 시장을 바람직한 구조로 만들고 건전한 경쟁을 이끌어낼 책임은 방통위 등 국가기관에 있다.
매년 국감 시즌은 정치인들의 ‘한탕주의’가 판을 치는 ‘정치의 계절’이다. 기업으로 하여금 시장이 원하는 제품을 개발해 많이 팔고,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그냥 놔뒀으면 좋겠다.
김현석 산업부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