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옵션만기와 기준금리 결정 등 국내 주요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지만, 코스피지수는 장초반부터 1% 이상 급상승하며 석달 만에 장중 1920선을 돌파했다. 외국인의 집중 순매수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이벤트에 대해 시장은, 특히 외국인은 큰 관심을 두지 않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전날 외국인의 폭발적인 선물 순매수(약 9760계약)로 인해 프로그램 매수 우위가 예상됐고, 기준금리 역시 동결 전망이 우세했기 때문. 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00%로 동결시켰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3분기 중국 경기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는 경제지표 발표에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해도 오히려 향후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가 커질 수 있고, 3분기가 '경기바닥'이라는 시장 내 컨센서스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내다봤다.

유주형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또 한 차례 본격적인 성적표 공개를 앞두고 있는데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7.6%)이 거시 조정 이래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진 뒤 시장의 관심이 뜨겁다"고 말했다. 이번 경제지표로 인해 3분기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어서다.

일단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대비 1.8%로 발표됐다. 당초 전문가들은 1.7%로 예상했었다. 2009년말 이후 최저치 수준이며, 당초 예상치를 약간 웃돌았다.

손재연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이날 중국 CPI 상승률이 3분기 중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그는 "최근 중국의 CPI가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있다"면서 "6월의 2.2% 상승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으로 분석했었다.

그러나 그는 "6월 중순부터 가파르게 상승한 곡물 가격이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 시작하는 8~9월께부터 중국 CPI 상승률의 반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했다. 중국 수출입 지표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유 연구원은 "그래도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전년대비로 6분기 연속 둔화됐지만, 전기대비로는 소폭 개선됐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며 "특히 이번 개선이 침체 일변도를 달리던 중국 부동산 경기의 '완만한 회복'을 바탕으로 이뤄졌다면 나쁘지 않다"고 진단했다.

지방 정부에서 실시하는 대규모 경기부양 프로젝트 역시 과거와 다르다는 평가다.

유 연구원은 "지난 7월부터 중국 지방정부들이 잇따라 대규모 경기부양 프로젝트를 쏟아내고 있는데 주목할 점은 2012년 중국의 경기부양 성격이 과거와 확연히 달라졌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위기 직후의 중국 경기부양은 '성장'이라는 매우 분명한 목표가 있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대출 총량 규제 폐지, 부동산 규제 폐지, 지방정부 투자 규제 전면 완화 등의 수단이 총동원됐지만, 올해 경기부양은 성장률 방어라는 단기 목표와 구조개혁이라는 장기 목표를 동시에 고려하며 기획됐다"고 설명했다.

2012년 경기부양은 올 가을 예정된 지도부 교체를 앞두고 경제성장률을 면목이 서는 수준으로 방어하는데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유 연구원의 판단이다. 따라서 3분기 바닥 형성 기대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선영 신영증권 연구원도 최근 "8월 중국 증시는 이미 모멘텀을 확보했다"며 "베이따이허 회의의 폐막 시기와 맞물려 완만한 'U자형' 반등이 예상되는데 이는 경기둔화 우려감에 증시가 기를 못 펴는 상태에서 증시부양책이라는 구체적인 조치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그는 "7월 경제지표 발표 이후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하는 모습은 아니더라도 시장의 기대감이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큰 악재는 없을 것"이라며 "현재 중국은 그 어느 때보다 성장이 정체돼 있는 상황이므로 물가 안정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올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오세연 하나대투증권 연구원 역시 중국의 경제지표 발표 이후 향후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질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그는 "7월 경제지표(물가,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소매판매, 수출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결과가 부진하더라도 시장에 부정적인 충격을 주기보다 향후 정부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