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3호 궤도 안착…관측영상·위성 수출 '신호탄' 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항우연, 내년까지 4기 발사
“위성의 심장이 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18일 오전 3시30분 일본 다네가시마우주센터. 아리랑 3호 발사 2시간이 지난 후 브리핑실에 올라온 최해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아리랑3호발사단장이 처음 꺼낸 얘기다. 지난 24시간 한숨도 자지 못했는데 방금 아이를 얻은 부모처럼 흥분감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 8년간 고생해 우주로 쏘아올린 아리랑 3호가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3개 태양전지판을 펴고 정상 가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항우연은 이날 오전 1시39분 일본 로켓(H2A)에 실려 우주로 향한 아리랑 3호가 성공적으로 위성 궤도에 안착했다고 발표했다.
아리랑 3호는 앞으로 3~6개월간 테스트를 거쳐 한반도 관측 임무에 투입된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위성은 실험용 소규모 위성을 제외하고도 6기로 늘어났다. 항우연이 관리하는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2호와 3호, 국내 첫 정지궤도 통신해양위성 천리안, 민간 통신위성인 무궁화 5호, 올레 1호, 한별위성 등이다. 올해 추가로 레이더 영상을 찍을 수 있는 아리랑 5호 등 3기의 위성까지 쏘아올리면 세계 7~8위권 위성 운영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항우연은 지금까지 쌓은 위성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성을 활용한 우주시장에 뛰어들 계획이다. 수출 확대가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위성영상 판매 사업이다. 2007년 가동된 아리랑 2호를 앞세워 이 시장에 진출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유럽우주청(ESA), 대만, 아랍에미리트(UAE)와의 계약을 통해 2200만달러의 판권 판매액을 올렸다. 2호에 비해 해상도를 두 배 높인 아리랑 3호가 가동되면 부가가치가 몇 배 높은 고급 영상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시장조사기업 유로컨설트는 2009년 10억달러였던 지구관측 위성영상 시장 규모가 2018년 39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처음으로 위성 본체 수출에도 나선다. 세계에서 위성을 운영하는 나라는 G20에 속한 선진국뿐이고 위성을 자체 개발할 수 있는 나라는 10곳도 안된다.
김승조 항우연 원장은 “위성을 설계해 판매하는 사업을 시작해 항공우주 분야도 제대로 밥값을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아리랑 3호를 쏘아올린 일본 기술을 보면서 취약한 로켓 기술을 키워야 한다는 책임감을 강하게 느꼈다”며 “로켓 엔진 실험시설을 짓는 데 필요한 4000억원 등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네가시마=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18일 오전 3시30분 일본 다네가시마우주센터. 아리랑 3호 발사 2시간이 지난 후 브리핑실에 올라온 최해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아리랑3호발사단장이 처음 꺼낸 얘기다. 지난 24시간 한숨도 자지 못했는데 방금 아이를 얻은 부모처럼 흥분감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 8년간 고생해 우주로 쏘아올린 아리랑 3호가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3개 태양전지판을 펴고 정상 가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항우연은 이날 오전 1시39분 일본 로켓(H2A)에 실려 우주로 향한 아리랑 3호가 성공적으로 위성 궤도에 안착했다고 발표했다.
아리랑 3호는 앞으로 3~6개월간 테스트를 거쳐 한반도 관측 임무에 투입된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위성은 실험용 소규모 위성을 제외하고도 6기로 늘어났다. 항우연이 관리하는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2호와 3호, 국내 첫 정지궤도 통신해양위성 천리안, 민간 통신위성인 무궁화 5호, 올레 1호, 한별위성 등이다. 올해 추가로 레이더 영상을 찍을 수 있는 아리랑 5호 등 3기의 위성까지 쏘아올리면 세계 7~8위권 위성 운영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항우연은 지금까지 쌓은 위성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위성을 활용한 우주시장에 뛰어들 계획이다. 수출 확대가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위성영상 판매 사업이다. 2007년 가동된 아리랑 2호를 앞세워 이 시장에 진출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유럽우주청(ESA), 대만, 아랍에미리트(UAE)와의 계약을 통해 2200만달러의 판권 판매액을 올렸다. 2호에 비해 해상도를 두 배 높인 아리랑 3호가 가동되면 부가가치가 몇 배 높은 고급 영상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시장조사기업 유로컨설트는 2009년 10억달러였던 지구관측 위성영상 시장 규모가 2018년 39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처음으로 위성 본체 수출에도 나선다. 세계에서 위성을 운영하는 나라는 G20에 속한 선진국뿐이고 위성을 자체 개발할 수 있는 나라는 10곳도 안된다.
김승조 항우연 원장은 “위성을 설계해 판매하는 사업을 시작해 항공우주 분야도 제대로 밥값을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아리랑 3호를 쏘아올린 일본 기술을 보면서 취약한 로켓 기술을 키워야 한다는 책임감을 강하게 느꼈다”며 “로켓 엔진 실험시설을 짓는 데 필요한 4000억원 등 한국형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네가시마=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