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충분한 영양공급이 중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잦은 설사와 반복되는 복통이 주요 증상인 크론병은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모든 소화기관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염증성 면역질환이다. 대장과 소장이 이어지는 회맹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도 흔하게 발생한다.
◆희귀병인 크론병의 특징
크론병은 복통을 기본적으로 설사, 혈변,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빈혈, 백혈구 증가 혹은 감소증 등이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크론병 환자의 경우 증상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살짝 아픈 느낌의 정도로 하루에 몇 번씩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고통으로 하루에도 수십번씩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적인 크론병의 경우 유병율이 낮고 증상이 흔하지 않으며 초기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반복되는 설사로 인한 항문질환의 증상을 보인다. 병원을 찾고 나서야 병을 진단 받는 경우가 많을 만큼 생소한 질환이다.
김영진 내미지한의원 원장은 “크론병은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대의학에서는 희귀병으로 분류되고 있다”며 “크론병으로 인한 염증은 자주 재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염증은 장 협착, 장농양, 장누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고 결국 소장을 일부 절제하는 경우도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식습관이 중요한 크론병
크론병은 소화기관에 발병하는 질환이다 보니 식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잦은 설사로 인해 소화기관에서 영양소가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영양실조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해줘야 한다.
하지만 너무 과하게 섭취할 경우 그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적당히 여러번에 걸쳐 섭취하는 것이 좋다. 소화기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기름진 음식, 맵고 짠 음식, 차가운 음식들은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 고단백 음식 등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 원장은 “크론병은 치료와 함께 올바른 식습관과 충분한 영양소 섭취가 이뤄져야 염증의 재발을 막고 손상된 소화기관을 보호해 제대로 된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희귀병인 크론병의 특징
크론병은 복통을 기본적으로 설사, 혈변,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빈혈, 백혈구 증가 혹은 감소증 등이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크론병 환자의 경우 증상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살짝 아픈 느낌의 정도로 하루에 몇 번씩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고통으로 하루에도 수십번씩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적인 크론병의 경우 유병율이 낮고 증상이 흔하지 않으며 초기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반복되는 설사로 인한 항문질환의 증상을 보인다. 병원을 찾고 나서야 병을 진단 받는 경우가 많을 만큼 생소한 질환이다.
김영진 내미지한의원 원장은 “크론병은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대의학에서는 희귀병으로 분류되고 있다”며 “크론병으로 인한 염증은 자주 재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염증은 장 협착, 장농양, 장누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고 결국 소장을 일부 절제하는 경우도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식습관이 중요한 크론병
크론병은 소화기관에 발병하는 질환이다 보니 식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잦은 설사로 인해 소화기관에서 영양소가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영양실조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해줘야 한다.
하지만 너무 과하게 섭취할 경우 그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적당히 여러번에 걸쳐 섭취하는 것이 좋다. 소화기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기름진 음식, 맵고 짠 음식, 차가운 음식들은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 고단백 음식 등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 원장은 “크론병은 치료와 함께 올바른 식습관과 충분한 영양소 섭취가 이뤄져야 염증의 재발을 막고 손상된 소화기관을 보호해 제대로 된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