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미래 심포지엄] "원전은 선택 아닌 필수"…국내 19기 추가 건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폐기물처리·노후화 대비 관건
1972년 고리 원전 1호기 운전으로 시작된 국내 원전은 현재 전체 발전량의 34%를 담당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 규제와 석유 등 에너지 자원 대부분을 수입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원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지적이다.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문제와 원전 노후화에 따른 안전성 논란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정부는 운영 중인 21기의 원전 외에 19기를 더 건설해 2030년에는 총 40기의 원전을 가동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경북 영덕과 강원 삼척이 최근 신규 원전 후보지로 지정됐다.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늦어도 올해 말까지 입지를 확정, 140만㎾짜리 원전 4기씩을 건설할 방침이다.
가동 중인 21기 원전 가운데 20년 이상인 원전은 7기에 달한다. 지난겨울 고장으로 멈춘 울진 1호기, 고리 3호기, 월성 1호기 등 3기는 가동한 지 25년이 지났다. 노후 원전을 대체할 추가 원전 건설이 시급한 이유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를 위한 작업은 진행 중이다. 현재는 사용 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폐기물과 원전 안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 등 중저준위 폐기물 모두 원전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시설부터 짓고 있다.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일대에 80만드럼(드럼당 200ℓ) 규모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을 건설 중이다. 현재 한국의 방폐물 누적치는 2009년 기준으로 8만7000여드럼이다.
방폐장 1단계 공사는 10만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2014년 6월까지 완공하는 것으로 돼 있다. 당초 올해 12월 완공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1월 안전 점검 결과 6개의 방폐장 처분동굴(사일로) 중 1·2번 사일로의 암반이 당초 설계보다 연약해 보강공사로 일정이 연기됐다. 2016년 완공하기로 했던 2만5000드럼 규모의 2단계 공사도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정부는 운영 중인 21기의 원전 외에 19기를 더 건설해 2030년에는 총 40기의 원전을 가동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경북 영덕과 강원 삼척이 최근 신규 원전 후보지로 지정됐다.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늦어도 올해 말까지 입지를 확정, 140만㎾짜리 원전 4기씩을 건설할 방침이다.
가동 중인 21기 원전 가운데 20년 이상인 원전은 7기에 달한다. 지난겨울 고장으로 멈춘 울진 1호기, 고리 3호기, 월성 1호기 등 3기는 가동한 지 25년이 지났다. 노후 원전을 대체할 추가 원전 건설이 시급한 이유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를 위한 작업은 진행 중이다. 현재는 사용 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폐기물과 원전 안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 등 중저준위 폐기물 모두 원전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시설부터 짓고 있다.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일대에 80만드럼(드럼당 200ℓ) 규모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을 건설 중이다. 현재 한국의 방폐물 누적치는 2009년 기준으로 8만7000여드럼이다.
방폐장 1단계 공사는 10만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2014년 6월까지 완공하는 것으로 돼 있다. 당초 올해 12월 완공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1월 안전 점검 결과 6개의 방폐장 처분동굴(사일로) 중 1·2번 사일로의 암반이 당초 설계보다 연약해 보강공사로 일정이 연기됐다. 2016년 완공하기로 했던 2만5000드럼 규모의 2단계 공사도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