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카드경제 도입 등 자생력 키워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SM 규제만으론 한계…7년새 178곳 사라져
소비자와 '교감 마케팅'·가격 홍보 시스템 필요
소비자와 '교감 마케팅'·가격 홍보 시스템 필요
전통시장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제·문화적 가치가 높은데도 감소 추세가 심상치 않은 까닭이다. 전통시장은 2003년 1695곳에서 2010년 1517곳으로 7년 새 178곳이 사라졌다.
매출은 더 가파르게 줄고 있다. 36조원에서 24조원으로 30% 이상 빠졌다. 이 기간에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234개에서 928개로 4배가량 늘었다. 대형마트도 265개에서 450개로 증가했다.
◆경쟁력 높이는 데 힘 쏟아야
전통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서민경제 보호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다만 구체적인 정책 시행에서는 유통 대기업들을 규제하는 정책에 무게중심을 두기보다는 전통시장의 자체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이 긴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통시장 위축은 시대적 추세이므로 유통 대기업 규제만으로는 보호 성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 유통산업발전법, 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법 등 각종 법적 규제로 대기업이 새로 점포를 내기가 힘들어졌다. 대형마트의 경우 400개 이상 점포가 문을 열어 이미 포화상태란 분석이다. 규제의 성과가 점차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변명식 중소기업혁신전략연구원장(장안대 프랜차이즈경영과 교수)은 “관리운영비가 많이 드는 대형마트에 비해 전통시장 신선식품 가격이 20~30% 싼데도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게 아쉽다”고 말했다. 전통시장과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합쳐 이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변 원장은 “충남 온양전통시장은 상인들이 배우가 돼 연극 공연을 펼치는 등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려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유오 시장경영진흥원 상권활성화본부장은 “제주공항 근처에 있는 오일시장은 대형마트보다 시설 면에서는 뒤떨어지지만 중국인이나 일본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요소를 많이 갖추고 있다”며 “이런 문화관광형 특화전략으로 무장해야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상인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관건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은 지붕을 덮는 아케이드나 주차장, 공중화장실 등을 신설하는데 집중됐다. ‘시설 현대화’ 사업이다. 경영혁신 및 상인교육을 지원하는 데도 일정 예산을 배정했다. 지난해 상인교육에 45억원을 들였고,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발행에도 50억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그러나 정작 시장 상인들은 환전 과정이 복잡하다며 가맹점 가입을 기피하고 있다. 60~70대의 고령 상인일수록 기피현상은 더 심하다. 서울 남대문시장의 경우 전체 1만1000여개 점포 중 15%인 1681개만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하는 가맹점에 가입한 상태다.
대부분 신용카드를 받지 않는다는 점도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요인으로 꼽힌다. 변 원장은 “상인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과 보호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경영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매출은 더 가파르게 줄고 있다. 36조원에서 24조원으로 30% 이상 빠졌다. 이 기간에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234개에서 928개로 4배가량 늘었다. 대형마트도 265개에서 450개로 증가했다.
◆경쟁력 높이는 데 힘 쏟아야
전통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서민경제 보호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다만 구체적인 정책 시행에서는 유통 대기업들을 규제하는 정책에 무게중심을 두기보다는 전통시장의 자체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이 긴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통시장 위축은 시대적 추세이므로 유통 대기업 규제만으로는 보호 성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 유통산업발전법, 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법 등 각종 법적 규제로 대기업이 새로 점포를 내기가 힘들어졌다. 대형마트의 경우 400개 이상 점포가 문을 열어 이미 포화상태란 분석이다. 규제의 성과가 점차 줄어들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변명식 중소기업혁신전략연구원장(장안대 프랜차이즈경영과 교수)은 “관리운영비가 많이 드는 대형마트에 비해 전통시장 신선식품 가격이 20~30% 싼데도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게 아쉽다”고 말했다. 전통시장과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합쳐 이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변 원장은 “충남 온양전통시장은 상인들이 배우가 돼 연극 공연을 펼치는 등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려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유오 시장경영진흥원 상권활성화본부장은 “제주공항 근처에 있는 오일시장은 대형마트보다 시설 면에서는 뒤떨어지지만 중국인이나 일본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요소를 많이 갖추고 있다”며 “이런 문화관광형 특화전략으로 무장해야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상인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관건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은 지붕을 덮는 아케이드나 주차장, 공중화장실 등을 신설하는데 집중됐다. ‘시설 현대화’ 사업이다. 경영혁신 및 상인교육을 지원하는 데도 일정 예산을 배정했다. 지난해 상인교육에 45억원을 들였고,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발행에도 50억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그러나 정작 시장 상인들은 환전 과정이 복잡하다며 가맹점 가입을 기피하고 있다. 60~70대의 고령 상인일수록 기피현상은 더 심하다. 서울 남대문시장의 경우 전체 1만1000여개 점포 중 15%인 1681개만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하는 가맹점에 가입한 상태다.
대부분 신용카드를 받지 않는다는 점도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요인으로 꼽힌다. 변 원장은 “상인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과 보호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경영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