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높으면 사망률 떨어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철희 서울대 교수 분석
실직자가 늘면 사망률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사진) 등이 1991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업률이 2%에서 3%로 높아졌을 때 사망률은 2.8% 떨어졌고 실업률이 4%에서 5%로 상승했을 땐 사망률이 1.8% 줄었다고 16일 발표했다.
이 교수 등은 ‘경기침체는 건강에 이로운가’ 논문에서 미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연구에서도 실업률과 사망률은 반대로 움직였다고 설명했다. 45~64세 연령대에서 고용이 증가할 때 스트레스에 민감한 순환기 질환이나 음주 식사에 영향을 받는 소화기 질환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경기 호황과 관련된 일과 스트레스 증가, 음주, 흡연, 불건전한 식생활 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업률이 낮을 때 자살도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미국에서 고용이 늘어나면 자살률이 줄었다는 것과 상반된 결론이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사진) 등이 1991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업률이 2%에서 3%로 높아졌을 때 사망률은 2.8% 떨어졌고 실업률이 4%에서 5%로 상승했을 땐 사망률이 1.8% 줄었다고 16일 발표했다.
이 교수 등은 ‘경기침체는 건강에 이로운가’ 논문에서 미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연구에서도 실업률과 사망률은 반대로 움직였다고 설명했다. 45~64세 연령대에서 고용이 증가할 때 스트레스에 민감한 순환기 질환이나 음주 식사에 영향을 받는 소화기 질환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경기 호황과 관련된 일과 스트레스 증가, 음주, 흡연, 불건전한 식생활 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업률이 낮을 때 자살도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미국에서 고용이 늘어나면 자살률이 줄었다는 것과 상반된 결론이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