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성난 얼굴로 돌아온 2040
때로는 어루만짐,위로만으로도 치유가 되는 경우가 있다. 정치에도 플래시보(위약) 효과가 있다. 프리허그로 껴안기만 해도 위로를 받는다. 지난 몇 달 안철수 신드롬을 가져온 2040세대의 반란은 다분히 정서적 배경을 가진다. 20%가 80%의 부(富)를 누리는 사회,아니 '1 대 99'의 사회에서 88만원 세대들이 느낀 것은 자신들은 철저히 내팽개쳐져 있는데 정부나 정치인,그 누구도 돌봐주지 않는다는 좌절감,절박함이었다.

2040은 누구인가. 굳이 칼 만하임을 끌어들이지 않더라도 세대는 사회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2040은 대략 베이비부머들의 아들딸뻘이다. 길게는 개발독재 말기의 질곡을 거쳐 민주화 과정을 함께 체험한 '486세대'부터 짧게는 성장기에 21세기의 풍요와 좌절을 동시에 겪은 이삼십 대에 이르는 세대들이다. 2040은 이미 우리 사회의 주류를 형성하며 사회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이들 가운데 특히 주목할 것은 '88만원세대'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진 '청춘세대'다. 사회초년생으로 2040에 합류하며 폭발적인 운동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런 뜻에서 우리 사회는 노화하는 게 아니라 계속 젊어지고 있는 셈이다.

2040이 공유하는 세대의식과 이들이 갈망하는 사회를 몇 마디로 집약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들은 드러난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위로 받고 싶다. 좌절과 막막한 장래 탓이지만 멘토를 원하고 희망의 메시지를 구한다. 우리 시대 새로운 영웅들은 그런 의미에서 모두 멘토이자 위로하는 주술가들이다. 그러나 위로도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통하고 공감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잘나고 똑똑해도 공감을 얻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엄친아,엄친딸들은 종종 너무 잘 나서 실패한다.

반면 이들은 참을성이 없다. 아니 참으려 하지 않는다. 소위 '필을 받으면' 즉각 행동으로 옮기기 때문에 파괴력이 있다. 반값등록금을 요구하고 무상급식을 외치며 투표장으로,청계천으로,이들은 스스로 동원하면서 또 기꺼이 동원된다. 그러나 이들이 꼭 정서적으로 편향된 것만은 아니다.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못하며 무언가,어딘가 잘못 돼 가고 있다는 냉철한 인식이 없었다면 이들이 그 폭발적인 결집력을 보일 수 없었을 것이다.

이들의 존재영역은 블로그와 트위터로,페이스북과 카톡으로 시공을 가로질러 사방으로 확장돼 있다.

세태 변화에 민감한 정치인들은 궁리할 것이다. 2040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정치에게 이들 2040은 너무나 신통해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마법의 힘이다. 그러나 2040,특히 청춘세대들을 위로하고 공감을 얻겠다고 콘서트를 여는 정치마케팅은 무모한 일이다. 정치가 연예기획사의 이벤트처럼 변질되고 있지만 공감을 얻기는 쉽지 않다. 자칫 섣부른 기획을 시도했다가 오히려 반감만 확산시키는 경우도 많다. 나꼼수와 정치개그에 익숙하기에 정치인들의 속보이는 욕심을 훤히 꿰뚫고 있다. 쉽지 않다. 정치에 진정성이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낯설기는 매한가지고 그들이 시도 때도 없이 벌이는 정치놀음에 눈길을 주거나 끼어들 생각이 없다. 기성 정당들은 희망이 없다고 여긴다. 안철수 · 박원순 현상이 이들의 첫 작품이자 여전히 진행형의 막춤이다.

문제는 상처 입은 2040의 아픔을 누구든 과연 치유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로받고 공감하고 희망을 느끼다가도 막상 치유를 기대할 수 없다고 여기면 가차 없이 내치고 버릴 수 있는 행동주의 소비자들이기 때문이다. 생각이 세상을 바꾸기도 하지만 결코 녹록지 않은 현실에서 2040의 새로운 영웅들은 이제 제대로 걸려든 셈이다. 능력과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 죽는다.

홍준형 <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