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KOREA] 박상일 파크시스템스 대표 "기술 상용화 여부로 R&D 성패 평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학·기술 인재 10만명 키우자
<4부> 창조형 국가로 가는 길 - (1) 과학으로 위기극복
스트롱코리아는 과학기술을 우대하는 사회적 풍토 변화가 선행돼야 가능
<4부> 창조형 국가로 가는 길 - (1) 과학으로 위기극복
스트롱코리아는 과학기술을 우대하는 사회적 풍토 변화가 선행돼야 가능
서울대 물리학과를 차석으로 졸업하고 미국 최고 명문대의 하나인 스탠퍼드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땄다면 어떤 진로를 택할까. 대부분 안정적인 교수의 길을 택할 것이다. 그러나 박상일 파크시스템스 대표(53 · 벤처리더스클럽 회장)는 주변의 만류를 뿌리치고 창업의 문고리를 잡았다. 기술력과 인내심으로 세계 정상급 벤처기업을 키워내 '과학 한류'를 지피고 있는 박 대표는 '스트롱코리아'를 몸소 실천하고 있는 테크노 CEO(최고경영자)다.
박 대표는 응용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직후인 1988년 실리콘밸리에서 원자현미경(AFM) 등 미세 계측제어장비업체인 PSI를 창업했다. 세계 최초로 원자현미경을 개발한 켈빈 퀘이트 스탠퍼드대 교수가 그의 은사다.
그는 창업 이후 줄곧 원자현미경 분야에만 몰두했다. 1997년 한국 법인을 세운 이후에도 밤낮 없이 연구 · 개발(R&D)을 지속했다. 결국 혁신적 분해능을 갖는 차세대 원자현미경 'XE' 시리즈를 개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제품을 국산화하고 30여개국에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일본 등 해외 현지법인을 합쳐 직원 수가 120명 남짓한 이 회사의 매출은 2008년부터 매년 117억원, 141억원, 164억원으로 꾸준히 올랐으며 올해는 20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박 대표뿐 아니라 주요 임원들의 커리어도 화려하다. 글로벌 영업과 마케팅 담당인 유영국 상무는 미국 시카고대와 UC버클리를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한 뒤 유수 대학의 교수직 제안을 뿌리치고 2005년 이 회사에 들어왔다. 조상준 연구개발부장(수석연구원) 역시 교수직을 마다하고 이 회사의 바이오 나노기술을 책임지고 있다.
박 대표는 수원 나노소자특화팹센터에서 기자를 만나 국가 R&D 구조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그는 "대기업에 대한 R&D 지원을 대폭 줄이고, R&D로 연명하고 있는 부실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도식화된 기술 평가지표를 버리고, 기술이전 기업의 매출 증대 및 고용 확대 등으로 R&D의 성공 · 실패를 판가름하는 전향적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화점식 나눠주기 R&D가 아니라 선택과 집중을 하자는 것이다.
그는 또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과학기술을 잘 알아야 국가와 사회의 지도자 역할을 해낼 수 있다"며 "스트롱코리아를 위해서는 R&D와 비즈니스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과학기술을 중시하고 우대하는 문화적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원=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박 대표는 응용물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직후인 1988년 실리콘밸리에서 원자현미경(AFM) 등 미세 계측제어장비업체인 PSI를 창업했다. 세계 최초로 원자현미경을 개발한 켈빈 퀘이트 스탠퍼드대 교수가 그의 은사다.
그는 창업 이후 줄곧 원자현미경 분야에만 몰두했다. 1997년 한국 법인을 세운 이후에도 밤낮 없이 연구 · 개발(R&D)을 지속했다. 결국 혁신적 분해능을 갖는 차세대 원자현미경 'XE' 시리즈를 개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제품을 국산화하고 30여개국에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일본 등 해외 현지법인을 합쳐 직원 수가 120명 남짓한 이 회사의 매출은 2008년부터 매년 117억원, 141억원, 164억원으로 꾸준히 올랐으며 올해는 20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박 대표뿐 아니라 주요 임원들의 커리어도 화려하다. 글로벌 영업과 마케팅 담당인 유영국 상무는 미국 시카고대와 UC버클리를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한 뒤 유수 대학의 교수직 제안을 뿌리치고 2005년 이 회사에 들어왔다. 조상준 연구개발부장(수석연구원) 역시 교수직을 마다하고 이 회사의 바이오 나노기술을 책임지고 있다.
박 대표는 수원 나노소자특화팹센터에서 기자를 만나 국가 R&D 구조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그는 "대기업에 대한 R&D 지원을 대폭 줄이고, R&D로 연명하고 있는 부실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도식화된 기술 평가지표를 버리고, 기술이전 기업의 매출 증대 및 고용 확대 등으로 R&D의 성공 · 실패를 판가름하는 전향적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화점식 나눠주기 R&D가 아니라 선택과 집중을 하자는 것이다.
그는 또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과학기술을 잘 알아야 국가와 사회의 지도자 역할을 해낼 수 있다"며 "스트롱코리아를 위해서는 R&D와 비즈니스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과학기술을 중시하고 우대하는 문화적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원=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