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에서 항암치료할수있는 물질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바이러스로부터 항암 치료를 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명희 책임연구원팀과 미 서던 캘리포니아대 정재웅 교수팀이 이같은 연구성과를 내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지에 실었다고 8일 발표했다.
보통 항암치료는 암 발생 억제 단백질인 ‘p53’이 분해되거나 돌연변이 없이 기능을 잘 유지하도록 안정화시키는 게 관건이다.p53 은 단백질분해억제효소(HAUSP)와 단백질분해유도효소(MDM2)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를 잘 제어해야 항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포항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단백질 분해억제효소(HAUSP)와 바이러스 단백질 복합체의 입체구조를 규명했다.또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펩타이드(소수의 아미노산 중합체) vif-1, 2 가 HAUSP 를 억제해 결과적으로 p53 을 안정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이 두 펩타이드를 암이 유발된 쥐에 처리됐을 때 암 세포가 사멸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김 연구원은 “미국에서 임상중인 p53안정화 항암치료제인 누트린(Nutlin)-3a 와 비슷한 잠재력을 갖춘 차세대 항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런티어사업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및 글로벌프런티어사업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의 지원을 받았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명희 책임연구원팀과 미 서던 캘리포니아대 정재웅 교수팀이 이같은 연구성과를 내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지에 실었다고 8일 발표했다.
보통 항암치료는 암 발생 억제 단백질인 ‘p53’이 분해되거나 돌연변이 없이 기능을 잘 유지하도록 안정화시키는 게 관건이다.p53 은 단백질분해억제효소(HAUSP)와 단백질분해유도효소(MDM2)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를 잘 제어해야 항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포항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단백질 분해억제효소(HAUSP)와 바이러스 단백질 복합체의 입체구조를 규명했다.또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펩타이드(소수의 아미노산 중합체) vif-1, 2 가 HAUSP 를 억제해 결과적으로 p53 을 안정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이 두 펩타이드를 암이 유발된 쥐에 처리됐을 때 암 세포가 사멸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김 연구원은 “미국에서 임상중인 p53안정화 항암치료제인 누트린(Nutlin)-3a 와 비슷한 잠재력을 갖춘 차세대 항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런티어사업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및 글로벌프런티어사업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의 지원을 받았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