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문 열고 달린 적 여러 번 있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분간 4개역을 문 열린채…지하철 6호선 '아찔한 주행'
현장 관계자 밝혀…公社선 "기관사 단순 실수"
'문 열렸어도 임의 출발' 비상 매뉴얼도 '허점'
현장 관계자 밝혀…公社선 "기관사 단순 실수"
'문 열렸어도 임의 출발' 비상 매뉴얼도 '허점'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았어도 육안 확인 후 문제가 없으면 다시 운행했던 적이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 "(서울도시철도공사 관계자)
지난 20일 지하철 6호선이 출입문을 연 채 달리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지하철 5~8호선 운영사인 서울도시철도공사 측은 "기관사의 단순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취재 결과 지하철 출입문이 열린 채 달린 사례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철도공사의 비상 매뉴얼도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사의 단순 실수" 논란
당시 지하철 6호선 신당역에서 출발한 봉화산행 열차는 오전 8시52분께 출입문을 닫지 않은 채 안암역까지 네 정거장을 10여분간 운행했다. 도시철도공사 측은 "차량 좌우 번호를 착각한 기관사의 순간 실수에서 빚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여섯 번째 칸 네 번째(6-4) 출입문이 열려 있었지만 기관사가 세 번째 칸 첫 번째(3-1) 출입문인 것으로 착각했다는 얘기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이 열리면 시스템상 지하철은 움직일 수 없다. 다만 기관사가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작동시키면 임의로 열차를 움직이는 게 가능하다. 당시에도 기관사가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켜 열차를 출발시켰다.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이번 일을 제외하면 문이 열렸는데도 지하철이 달렸던 적은 지금까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운행부서 관계자의 말은 달랐다. 한 관계자는 "육안으로 볼 때는 닫혀 있더라도 실제로는 전기적으로 접합이 안 돼 열려 있는 경우가 있다"며 "이럴 땐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켜 임의로 차량을 움직인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적으로 접합이 안 돼 있으면 언제라도 문이 활짝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문을 열고 달린 경우가 지금까지도 여러 차례 있었다는 얘기다.
◆비상 매뉴얼 허점투성이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기관사의 단순 실수'라는 도시철도공사의 설명에 대해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이 열렸다는 신호가 모니터에 떠 있는데도 육안으로만 확인하고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켰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메트로는 지하철 문이 열려 있거나 이상이 발생하는 즉시 승객들을 차량에서 내리게 한 후 다른 열차로 갈아타게 한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2007년 2호선에서 출입문에 이물질이 낀 채 한 정거장을 운행했던 사고가 있었던 직후 이 같은 매뉴얼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도시철도공사 매뉴얼엔 출입문이 열렸다는 신호가 뜨면 육안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한 후 다시 출발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또 지하철 직원이 문이 열린 해당 차량에 탑승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서울 지하철 관계자는 "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이 같은 매뉴얼 차이는 배차 시간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서울 지하철 1~4호선은 이용객이 많아 배차시간이 2~3분 정도인 데 비해 운행회사가 다른 5~8호선은 10분가량이다.
이 관계자는 "1~4호선 차량에 이상이 생기면 승객을 내리게 하더라도 다음 열차가 2~3분 만에 온다"며 "그러나 도시철도공사는 배차 시간이 길어 그런 조치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열차 운행 지연에 따른 시민들의 민원을 우려해 안전을 도외시한 채 열차를 운행하는 것이어서 매뉴얼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지난 20일 지하철 6호선이 출입문을 연 채 달리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지하철 5~8호선 운영사인 서울도시철도공사 측은 "기관사의 단순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취재 결과 지하철 출입문이 열린 채 달린 사례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철도공사의 비상 매뉴얼도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사의 단순 실수" 논란
당시 지하철 6호선 신당역에서 출발한 봉화산행 열차는 오전 8시52분께 출입문을 닫지 않은 채 안암역까지 네 정거장을 10여분간 운행했다. 도시철도공사 측은 "차량 좌우 번호를 착각한 기관사의 순간 실수에서 빚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여섯 번째 칸 네 번째(6-4) 출입문이 열려 있었지만 기관사가 세 번째 칸 첫 번째(3-1) 출입문인 것으로 착각했다는 얘기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이 열리면 시스템상 지하철은 움직일 수 없다. 다만 기관사가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작동시키면 임의로 열차를 움직이는 게 가능하다. 당시에도 기관사가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켜 열차를 출발시켰다.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이번 일을 제외하면 문이 열렸는데도 지하철이 달렸던 적은 지금까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운행부서 관계자의 말은 달랐다. 한 관계자는 "육안으로 볼 때는 닫혀 있더라도 실제로는 전기적으로 접합이 안 돼 열려 있는 경우가 있다"며 "이럴 땐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켜 임의로 차량을 움직인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적으로 접합이 안 돼 있으면 언제라도 문이 활짝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문을 열고 달린 경우가 지금까지도 여러 차례 있었다는 얘기다.
◆비상 매뉴얼 허점투성이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기관사의 단순 실수'라는 도시철도공사의 설명에 대해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이 열렸다는 신호가 모니터에 떠 있는데도 육안으로만 확인하고 바이패스 기능을 작동시켰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메트로는 지하철 문이 열려 있거나 이상이 발생하는 즉시 승객들을 차량에서 내리게 한 후 다른 열차로 갈아타게 한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2007년 2호선에서 출입문에 이물질이 낀 채 한 정거장을 운행했던 사고가 있었던 직후 이 같은 매뉴얼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도시철도공사 매뉴얼엔 출입문이 열렸다는 신호가 뜨면 육안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한 후 다시 출발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또 지하철 직원이 문이 열린 해당 차량에 탑승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서울 지하철 관계자는 "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이 같은 매뉴얼 차이는 배차 시간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서울 지하철 1~4호선은 이용객이 많아 배차시간이 2~3분 정도인 데 비해 운행회사가 다른 5~8호선은 10분가량이다.
이 관계자는 "1~4호선 차량에 이상이 생기면 승객을 내리게 하더라도 다음 열차가 2~3분 만에 온다"며 "그러나 도시철도공사는 배차 시간이 길어 그런 조치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열차 운행 지연에 따른 시민들의 민원을 우려해 안전을 도외시한 채 열차를 운행하는 것이어서 매뉴얼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