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동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 등 5건 보물지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문화재청은 ‘군산 동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등 5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보물 제1718호 ‘군산 동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은 1650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조성주체,소요 물목 등이 조성발원문에 낱낱이 기록돼 있어 조선 후기 불상연구에 기준이 되는 자료다.불상조성에는 당대를 대표하는 호연태호(浩然太湖)와 벽암각성(碧巖覺性)이 불사를 이끌었고,부드럽고 온화한 조각을 구사한 응매(應梅)가 조각을 주도했다.특히 석가불,아난존자,가섭존자만으로 구성된 석가여래삼존형식의 희귀한 사례로 꼽힌다.
보물 제1719호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1606년 동학사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청림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된 석가여래삼불상이다.조성에 참여한 석준(釋俊),각민(覺敏),각심(覺心) 등은 17세기 불교조각계의 첫 장을 여는 조각승들이다.
보물 제1720호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삼불상에서 발견된 불서들로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간사본이다.복장전적 7종 8책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4,권6》《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권6》《육경합부》《묘법연화경(언해)권2》《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불조삼경》《지장보살본원경 권하》등이다.
보물 제1721호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1651년 풍악산,오대산,묘향산,태백산,지리산 등 명산대찰의 고승들이 불사를 증명하고, 17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전라도 일원에서 크게 활약한 무염(無染)이 불상을 조성한 것으로 조성발원문을 통해 밝혀졌다.이 삼존불상은 무염의 대표작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시기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작품이다.
보물 제1722호 ‘총마계회도’는 16세기말 계회도(契會圖)로서 제작 동기와 제작연대가 분명하며 장황이 제작당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16세기말 족자형식 장황의 기준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
보물 제1718호 ‘군산 동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은 1650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조성주체,소요 물목 등이 조성발원문에 낱낱이 기록돼 있어 조선 후기 불상연구에 기준이 되는 자료다.불상조성에는 당대를 대표하는 호연태호(浩然太湖)와 벽암각성(碧巖覺性)이 불사를 이끌었고,부드럽고 온화한 조각을 구사한 응매(應梅)가 조각을 주도했다.특히 석가불,아난존자,가섭존자만으로 구성된 석가여래삼존형식의 희귀한 사례로 꼽힌다.
보물 제1719호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1606년 동학사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청림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된 석가여래삼불상이다.조성에 참여한 석준(釋俊),각민(覺敏),각심(覺心) 등은 17세기 불교조각계의 첫 장을 여는 조각승들이다.
보물 제1720호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삼불상에서 발견된 불서들로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간사본이다.복장전적 7종 8책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4,권6》《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권6》《육경합부》《묘법연화경(언해)권2》《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불조삼경》《지장보살본원경 권하》등이다.
보물 제1721호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1651년 풍악산,오대산,묘향산,태백산,지리산 등 명산대찰의 고승들이 불사를 증명하고, 17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전라도 일원에서 크게 활약한 무염(無染)이 불상을 조성한 것으로 조성발원문을 통해 밝혀졌다.이 삼존불상은 무염의 대표작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시기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작품이다.
보물 제1722호 ‘총마계회도’는 16세기말 계회도(契會圖)로서 제작 동기와 제작연대가 분명하며 장황이 제작당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16세기말 족자형식 장황의 기준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