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긴축 vs 시장개입, 하이에크-케인스의 재대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케인스 학파의 '1승'
2008년 월가發 금융위기 땐 G20 통화완화 정책으로 극복
2008년 월가發 금융위기 땐 G20 통화완화 정책으로 극복
현대경제학의 두 거두인 케인스와 하이에크의 재대결에서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영국 워릭대의 로버트 스키델스키 교수는 20일 프로젝트 신디케이트 홈페이지에 올린 칼럼을 통해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때에 이어 최근 세계 경제 위기 국면에서도 하이에크와 케인스가 다시 맞붙게 됐다고 말했다. 오스트리아 태생의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1899~1992)는 자유시장경제를 강력히 주창한 경제학자이며 영국 태생인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는 정부가 필요할 때 시장에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 인물.
스키델스키 교수는 정부와 가계,기업의 저축 규모에 비해 과도한 지출과 투자가 경제 위기를 초래하기 때문에 위기를 극복하려면 특히 정부와 중앙은행,가계 또는 소비자들이 긴축해야 한다는 게 하이에크의 접근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케인스는 정부와 가계,기업의 저축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적은 지출과 투자가 경제 위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총수요(가계 소비+정부 재정 지출+기업 투자+무역흑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스키델스키는 대공황 해법을 두고 맞붙은 두 경제학자와 학파 간의 대결에서 하이에크 학파가 패했다고 주장했다. 2008년 월가발 세계 금융위기 때도 미국 등 주요 20개국(G20)을 중심으로 한 재정지출과 통화완화 정책으로 위기를 수습했다고 설명했다. 기업과 소비자 등 민간부문 지출이 여전히 취약한 이번 위기에도 공공부문의 긴축은 경기침체를 담보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스키델스키는 무엇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케인스 해법을 적용,대공황을 이겨낸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과 같은 정책을 사용할 것이냐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위기를 극복할 해법을 모색하는 재대결에서도 하이에크의 패배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재정지출을 촉구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영국 워릭대의 로버트 스키델스키 교수는 20일 프로젝트 신디케이트 홈페이지에 올린 칼럼을 통해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때에 이어 최근 세계 경제 위기 국면에서도 하이에크와 케인스가 다시 맞붙게 됐다고 말했다. 오스트리아 태생의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1899~1992)는 자유시장경제를 강력히 주창한 경제학자이며 영국 태생인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는 정부가 필요할 때 시장에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 인물.
스키델스키 교수는 정부와 가계,기업의 저축 규모에 비해 과도한 지출과 투자가 경제 위기를 초래하기 때문에 위기를 극복하려면 특히 정부와 중앙은행,가계 또는 소비자들이 긴축해야 한다는 게 하이에크의 접근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케인스는 정부와 가계,기업의 저축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적은 지출과 투자가 경제 위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총수요(가계 소비+정부 재정 지출+기업 투자+무역흑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스키델스키는 대공황 해법을 두고 맞붙은 두 경제학자와 학파 간의 대결에서 하이에크 학파가 패했다고 주장했다. 2008년 월가발 세계 금융위기 때도 미국 등 주요 20개국(G20)을 중심으로 한 재정지출과 통화완화 정책으로 위기를 수습했다고 설명했다. 기업과 소비자 등 민간부문 지출이 여전히 취약한 이번 위기에도 공공부문의 긴축은 경기침체를 담보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스키델스키는 무엇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케인스 해법을 적용,대공황을 이겨낸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과 같은 정책을 사용할 것이냐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위기를 극복할 해법을 모색하는 재대결에서도 하이에크의 패배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재정지출을 촉구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