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세계증시 최악 시나리오…'버핏 콜'과 '루비니 풋'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버핏 풋'과 '루비니 콜' 힘실려…美 주가상승 가능성 높아
어떤 국가이든지 중앙은행 총재가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그렇다.
미국 역사상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가 가장 높았던 FRB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이다. 많은 사건 가운데 이런 신뢰관계 형성에 결정적 계기가 됐던 것은 1998년 발생한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사태다. 당시 러시아 모라토리엄(채무지급 유예) 사태로 LTCM이 파산 직전에 몰리자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신용경색 현상이 발생하면서 주가가 폭락했다.
이때 세 번에 걸친 금리 인하를 통한 긴급조치 덕분에 LTCM 사태가 해결됐고,시장 참여자들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그린스펀의 능력을 맹신하게 됐다. 위험을 상쇄시키는 능력 때문에 증시 침체로부터 옵션보유자를 보호하는 풋옵션과 비슷하다는 뜻으로 '그린스펀 풋(Greenspan put)'이란 용어까지 탄생했다.
1990년대 후반처럼 신(新)경제로 대변되는 증시 기초 여건이 견실한 상황에서 '그린스펀 풋'까지 가세함에 따라 저가 매수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당시 시장 참여자들은 좋은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도처에 깔려 있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미국 경제는 신경제 국면이 연출됐고 주가는 크게 상승했다.
그린스펀의 뒤를 이은 벤 버냉키 의장 취임 초기에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 수위에 따라 증시가 요동을 친 적이 있었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 '버냉키 충격(Bernanki shock)'이라 불릴 정도로 주가가 급락했고,인플레이션이 통제 가능해 금리 인상 우려가 줄어들면 '버냉키 효과(Bernanki effect)'라 표현될 정도로 주가가 급등했다.
문제는 불과 하루이틀 간격으로 이런 현상이 교차됨에 따라 증시 참여자들의 버냉키 의장에 대한 생각이 갈수록 비우호적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증시 참여자들이 느끼는 피로도가 얼마나 되는가를 알 수 있는 금융스트레스 지수가 버냉키 의장이 취임한 1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런 현상이 이어지면서 버냉키 의장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는 떨어졌다. 당시 이런 상황을 두고 월가에서는 '그린스펀 풋'과 대비시켜 '버냉키 콜(Bernanki call)'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최근에는 3차 양적완화 추진에 대한 언급을 하루아침에 번복함에 따라 버냉키 의장에 대한 신뢰가 재추락하자 이 용어가 오랜만에 다시 등장했다.
'버냉키 콜'은 잦은 말바꿈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피로가 누적되면 옵션 보유자를 보호하지 못해 만기 이전이라도 권리행사를 촉진시키는 콜옵션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버냉키 콜'이 발생하면 경기,실적과 같은 기초여건이 좋아지더라도 보유주식이 출회돼 증시는 지금의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그린스펀 풋'과 '버냉키 콜'이란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 여부에 따라 중앙은행 총재의 운명이 엇갈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본연의 책임을 다할 경우 그린스펀처럼 시장 참여자들이 신뢰를 바탕으로 FRB 역사상 최장수 의장을 맡을 수 있도록 밀어주고(put),그렇지 못할 경우 시장 참여자들의 부름(call)으로 중앙은행 총재직을 임기 이전이라도 내놓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월가에서 버냉키 의장 못지않게 영향력 있는 사람이 워런 버핏 벅셔 해서웨이 회장과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다. 버핏 회장은 미 경제와 신용등급에 강한 신뢰를 보내면서 주식을 살 것을 권한다. 반대로 루비니 교수는 미 경제 앞날에 강한 회의론을 제기하면서 지금은 주식을 팔아 현금을 보유할 때라고 주장한다.
최근처럼 신뢰위기 국면에 자주 인용되는 '그린스펀 풋'과 '버냉키 콜'을 두 사람의 시각에 적용해 보자.향후 증시 앞날과 관련해 월가의 시장 참여자들이 '버핏 풋'과 '루비니 콜'을 보낸다면 주가는 상승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버핏 콜'과 '루비니 풋'의 상황이 벌어진다면 주가는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두 사람의 운명은 엇갈렸다. 버핏 회장은 '신드롬'이라는 용어까지 나올 정도로 월가는 여전히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지만,루비니 교수는 거듭된 비관론이 들어맞지 않아 신뢰가 예전만 못하다. '버핏 풋'과 '루비니 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뜻이다. 증시 앞날에 대해 너무 비관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때다.
우리 입장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에 대해서는 어떤 용어가 붙여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증시 참여자의 한 사람으로 '김중수 콜'보다는 '김중수 풋'이라는 용어가 붙여져 주가가 한 단계 뛰어올라 국민의 재산이 불어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미국 역사상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가 가장 높았던 FRB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이다. 많은 사건 가운데 이런 신뢰관계 형성에 결정적 계기가 됐던 것은 1998년 발생한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사태다. 당시 러시아 모라토리엄(채무지급 유예) 사태로 LTCM이 파산 직전에 몰리자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신용경색 현상이 발생하면서 주가가 폭락했다.
이때 세 번에 걸친 금리 인하를 통한 긴급조치 덕분에 LTCM 사태가 해결됐고,시장 참여자들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그린스펀의 능력을 맹신하게 됐다. 위험을 상쇄시키는 능력 때문에 증시 침체로부터 옵션보유자를 보호하는 풋옵션과 비슷하다는 뜻으로 '그린스펀 풋(Greenspan put)'이란 용어까지 탄생했다.
1990년대 후반처럼 신(新)경제로 대변되는 증시 기초 여건이 견실한 상황에서 '그린스펀 풋'까지 가세함에 따라 저가 매수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당시 시장 참여자들은 좋은 주식을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도처에 깔려 있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미국 경제는 신경제 국면이 연출됐고 주가는 크게 상승했다.
그린스펀의 뒤를 이은 벤 버냉키 의장 취임 초기에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 수위에 따라 증시가 요동을 친 적이 있었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 '버냉키 충격(Bernanki shock)'이라 불릴 정도로 주가가 급락했고,인플레이션이 통제 가능해 금리 인상 우려가 줄어들면 '버냉키 효과(Bernanki effect)'라 표현될 정도로 주가가 급등했다.
문제는 불과 하루이틀 간격으로 이런 현상이 교차됨에 따라 증시 참여자들의 버냉키 의장에 대한 생각이 갈수록 비우호적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증시 참여자들이 느끼는 피로도가 얼마나 되는가를 알 수 있는 금융스트레스 지수가 버냉키 의장이 취임한 1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런 현상이 이어지면서 버냉키 의장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는 떨어졌다. 당시 이런 상황을 두고 월가에서는 '그린스펀 풋'과 대비시켜 '버냉키 콜(Bernanki call)'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최근에는 3차 양적완화 추진에 대한 언급을 하루아침에 번복함에 따라 버냉키 의장에 대한 신뢰가 재추락하자 이 용어가 오랜만에 다시 등장했다.
'버냉키 콜'은 잦은 말바꿈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피로가 누적되면 옵션 보유자를 보호하지 못해 만기 이전이라도 권리행사를 촉진시키는 콜옵션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버냉키 콜'이 발생하면 경기,실적과 같은 기초여건이 좋아지더라도 보유주식이 출회돼 증시는 지금의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그린스펀 풋'과 '버냉키 콜'이란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 여부에 따라 중앙은행 총재의 운명이 엇갈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증시를 비롯한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본연의 책임을 다할 경우 그린스펀처럼 시장 참여자들이 신뢰를 바탕으로 FRB 역사상 최장수 의장을 맡을 수 있도록 밀어주고(put),그렇지 못할 경우 시장 참여자들의 부름(call)으로 중앙은행 총재직을 임기 이전이라도 내놓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월가에서 버냉키 의장 못지않게 영향력 있는 사람이 워런 버핏 벅셔 해서웨이 회장과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다. 버핏 회장은 미 경제와 신용등급에 강한 신뢰를 보내면서 주식을 살 것을 권한다. 반대로 루비니 교수는 미 경제 앞날에 강한 회의론을 제기하면서 지금은 주식을 팔아 현금을 보유할 때라고 주장한다.
최근처럼 신뢰위기 국면에 자주 인용되는 '그린스펀 풋'과 '버냉키 콜'을 두 사람의 시각에 적용해 보자.향후 증시 앞날과 관련해 월가의 시장 참여자들이 '버핏 풋'과 '루비니 콜'을 보낸다면 주가는 상승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버핏 콜'과 '루비니 풋'의 상황이 벌어진다면 주가는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두 사람의 운명은 엇갈렸다. 버핏 회장은 '신드롬'이라는 용어까지 나올 정도로 월가는 여전히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지만,루비니 교수는 거듭된 비관론이 들어맞지 않아 신뢰가 예전만 못하다. '버핏 풋'과 '루비니 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뜻이다. 증시 앞날에 대해 너무 비관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때다.
우리 입장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에 대해서는 어떤 용어가 붙여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증시 참여자의 한 사람으로 '김중수 콜'보다는 '김중수 풋'이라는 용어가 붙여져 주가가 한 단계 뛰어올라 국민의 재산이 불어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