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이 화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묘책 찾기 논의가 활발하다. 약육강식 논리로는 구현될 수 없는 선진사회 진입을 앞두고서다.

《동반성장》은 모두가 윈-윈하는 지속 가능 성장전략을 모색한 책이다.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인 저자는 공동체적 자율에 기초한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에서 해법을 찾는다.

저자에 따르면 선진국은 경제 발전 상황과 사회문화적 특성에 맞는 고유의 동반성장 모델을 발전시켜왔다.

일본은 도요타처럼 특유의 집단주의 정서를 기반으로 공동 이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발전시켰다. 미국은 실리콘밸리와 같이 자유경쟁 시장질서 속에서 기술혁신 유발체제를 진전시켰다. 유럽은 좀 다르다. 일본 미국과 달리 정부가 적극 개입하는 정책주도형 모델을 채택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이끌었다.

저자는 "한국인에게는 특유의 동반성장 DNA가 있다"며 "자율과 통제의 융합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한국인은 유대관계와 공동체 분위기를 중시하고 그 속에서 자발성과 창의성을 발휘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다"며 "우리의 공동체주의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2009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엘리너 오스트롬을 등장시킨다. 오스트롬은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공공이익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공유지의 비극'을 공동체의 지성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어장 초원 호수 지하수 등의 공유재산은 정부나 시장이 아니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자치협력체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해 환경 오염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한 것.

저자는 한국에 적합한 동반성장은 시장자율에 맡겨서도 안 되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개입해도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정부의 통제냐,시장 자율이냐의 이분법적 딜레마에서 벗어나 통제와 자율의 장점을 잘 융합하려는 노력을 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주장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