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구역 개발 면적 반토막" 주민 부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9년 발표구역의 절반 제외
다세대주택 투자자 큰 손실
역세권 용적률도 기대 못미쳐
다세대주택 투자자 큰 손실
역세권 용적률도 기대 못미쳐
자영업자 A씨(44 · 서울 상계동)는 작년 10월 합정전략정비구역 내 다세대주택(대지면적 33㎡)을 3억5000만원에 매입했다. 서울시가 합정전략정비구역 개발계획을 발표하면 집값이 오를 것으로 판단했다. 이 집은 서울시가 2009년 1월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한 이후 4억원대를 호가하다 금융위기 여파로 값이 떨어진 상태였다.
A씨는 지난 26일 서울시가 발표한 개발계획을 확인하고 충격을 받았다. 당초 발표와 달리 전략정비구역 전체가 아니라 합정역(2호선)과 상수역(6호선) 역세권 일부만 개발 대상으로 잡혀서다. A씨는 "서울시를 믿고 주택 등을 매입한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보게 됐다"며 "공청회 저지와 시의회 및 구청 탄원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체 부지 절반 개발 배제
27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2009년 1월 발표된 합정전략정비구역은 당인리발전소를 제외하고 36만8624㎡ 규모다. 그러나 지난 26일 발표에선 중앙부 20만5212㎡(55.6%)는 자력개발 대상으로 분류돼 특별계획구역 지정에서 빠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발되지 않고) 존치되는 지역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특별계획구역으로 계획된 합정 · 상수역 역세권 용적률과 층고도 지역 주민 기대를 밑도는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건축물 높이는 대부분 15m(4~5층)에서 90m(20~30층)로 계획됐고 합정역세권 일부만 120m(30~40층)로 지정됐다. 기준 용적률도 180% 이하~300% 이하다. 땅 25%를 기부채납함에도 일반 재개발구역과 큰 차이가 없다. 합정개발계획 총괄책임자인 신중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는 "인근 절두산 성지,양화진 묘지공원 등 역사적 장소를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강변북로 지하화 계획도 백지화했다. 재원이 부족하고 기술적으로도 지하화가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지역 숙원사업인 당인리발전소 이전도 불확실하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체 부지를 마련하지 못했다"며 "당인리발전소를 수변문화공원으로 만든다는 계획도 장기 과제로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너무 큰 격차"…주민 반발
지역 주민들은 "2009년 1월과 지난 26일 발표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2009년 제시한 조감도와 개발구상은 지역 전체를 초고층 및 중층아파트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강변북로 지하화와 당인리발전소 이전도 명확히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9년 발표는 비전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며 "계획은 구체화 과정에서 현실 여건을 반영해 수정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08년 3.3㎡ 당 2000만원 수준이던 합정동 일대 다세대주택(지분 33㎡ 기준)은 전략정비구역 지정 발표 이후 4000만원대로 치솟았다. 합정동 B공인 관계자는 "서울시 개발계획 발표 이후 다세대 주택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며 "집값이 원래수준으로 돌아가면 고가에 매입한 이들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우려했다. C공인 관계자는 "현지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장밋빛 전망부터 제시한 서울시가 책임을 면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작년 말 한강변 유도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당산지구의 개발 대상지역도 당초 60만㎡에서 23만㎡로 줄인 바 있어 망원 · 자양유도정비구역 등에서도 개발 배제에 따른 민원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성근/이정선 기자 truth@hankyung.com
A씨는 지난 26일 서울시가 발표한 개발계획을 확인하고 충격을 받았다. 당초 발표와 달리 전략정비구역 전체가 아니라 합정역(2호선)과 상수역(6호선) 역세권 일부만 개발 대상으로 잡혀서다. A씨는 "서울시를 믿고 주택 등을 매입한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보게 됐다"며 "공청회 저지와 시의회 및 구청 탄원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체 부지 절반 개발 배제
27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2009년 1월 발표된 합정전략정비구역은 당인리발전소를 제외하고 36만8624㎡ 규모다. 그러나 지난 26일 발표에선 중앙부 20만5212㎡(55.6%)는 자력개발 대상으로 분류돼 특별계획구역 지정에서 빠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발되지 않고) 존치되는 지역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특별계획구역으로 계획된 합정 · 상수역 역세권 용적률과 층고도 지역 주민 기대를 밑도는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건축물 높이는 대부분 15m(4~5층)에서 90m(20~30층)로 계획됐고 합정역세권 일부만 120m(30~40층)로 지정됐다. 기준 용적률도 180% 이하~300% 이하다. 땅 25%를 기부채납함에도 일반 재개발구역과 큰 차이가 없다. 합정개발계획 총괄책임자인 신중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는 "인근 절두산 성지,양화진 묘지공원 등 역사적 장소를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강변북로 지하화 계획도 백지화했다. 재원이 부족하고 기술적으로도 지하화가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지역 숙원사업인 당인리발전소 이전도 불확실하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체 부지를 마련하지 못했다"며 "당인리발전소를 수변문화공원으로 만든다는 계획도 장기 과제로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너무 큰 격차"…주민 반발
지역 주민들은 "2009년 1월과 지난 26일 발표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2009년 제시한 조감도와 개발구상은 지역 전체를 초고층 및 중층아파트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강변북로 지하화와 당인리발전소 이전도 명확히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9년 발표는 비전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며 "계획은 구체화 과정에서 현실 여건을 반영해 수정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08년 3.3㎡ 당 2000만원 수준이던 합정동 일대 다세대주택(지분 33㎡ 기준)은 전략정비구역 지정 발표 이후 4000만원대로 치솟았다. 합정동 B공인 관계자는 "서울시 개발계획 발표 이후 다세대 주택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며 "집값이 원래수준으로 돌아가면 고가에 매입한 이들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우려했다. C공인 관계자는 "현지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장밋빛 전망부터 제시한 서울시가 책임을 면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작년 말 한강변 유도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당산지구의 개발 대상지역도 당초 60만㎡에서 23만㎡로 줄인 바 있어 망원 · 자양유도정비구역 등에서도 개발 배제에 따른 민원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성근/이정선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