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신흥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세계경기 회복으로 주요 원자재와 상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이들 국가의 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경제성장률이 작년 10월 전망했던 것보다 0.7%포인트 올라간 3.0%로 예상되고 세계경제 성장률도 4.2%에서 4.4%로 높아질 것이란 분석에 따른 것이다. IMF가 신흥국의 예상 물가상승률을 불과 석 달 만에 0.75%포인트나 높인 것은 인플레 압력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에 다름아니다.

경각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닌 까닭이다. 그렇지 않아도 연초부터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확산과 유례없는 한파로 농수산물을 비롯한 식자재 및 생필품값이 2배 가까이 폭등한 상황이다. 설 연휴를 앞두고 제수용품 수요까지 겹쳐 물가가 계속 오르기만 하니 보통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도 유류 등 기초 원자재와 국제 곡물값 급등은 우리로선 어쩔 수 없는 외부요인에 의한 것이어서 뾰족한 처방이 없는 게 사실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비상한 물가관리가 요구되는 이유다.

무엇보다 우리가 3% 수준의 물가안정과 5%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만큼 이를 동시에 달성하려면 특단의 정책조합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해 성장을 포기하지 않는 한 전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에 의존하기는 어려운 게 우리의 형편이다. 추가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지금까지처럼 순차적으로 소폭씩 올려가는 '베이비 스텝'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가 강압적으로 물가를 떨어뜨리는 것은 기업활동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우선 불요불급한 수요를 억제하는 수요관리정책을통해 인플레이션 요인을 차단하는 게 급선무다. 이를 위해선 당장 600조원을 넘는 시중의 과잉 유동성을 줄이는 통화긴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67개 품목에 대해 시행키로 한 긴급할당관세를 주요 생필품으로 확대해 관세를 확 낮추거나 아예 무관세를 실시해 공급물량을 늘리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2008년처럼 유류세를 인하하는 등의 비상계획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