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경제 최대 리스크는 북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평도 포격 후 만성 악재로 변해
인플레·포퓰리즘 등 5대 복병이 성장 위협
인플레·포퓰리즘 등 5대 복병이 성장 위협
북한 문제와 국내 물가 불안에 따른 금리 인상 가능성,글로벌 환율전쟁 재발,중국의 긴축,선거를 앞둔 정치권의 포퓰리즘 남발 가능성이 내년 국내 경제를 위협할 5대 리스크로 꼽혔다. 특히 남북관계가 지난달 말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어 내년에도 긴장 고조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남북 대치가 극한으로 치달을 경우 금융시장 충격은 물론 실물경제 악영향도 불가피하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잡은 내년 5%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한다.
19일 한국경제신문이 학계와 국책 및 민간 연구소 전문가 30여명을 대상으로 2011년 국내 경제를 위협하는 5대 리스크를 조사한 결과 북한 리스크가 내년 우리 경제의 첫 번째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남북 대치 국면이 내년에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유승경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 리스크는 더 이상 '양치기 소년'이 아니라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악재로 변해 경제 전반을 괴롭히는 최대 장애요인으로 부상할 소지가 크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 성장률을 5%로 제시한 것과 달리 민간 연구소들은 대부분 4%대 초반을 내놓고 있지만,북한 리스크가 확산되면 이마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내년 경제의 변수로 감안하지 않았던 북한 악재가 더해질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처럼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밑으로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내년 경제의 두 번째 리스크 요인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이다. 정부는 지난 14일 발표한 '2011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 수준에서 묶을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주변 여건을 보면 결코 녹록지 않다.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 장기화와 미국의 양적완화 등에 따른 유동성 팽창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악재 요인들도 잠복해 있다. 일각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도 거론한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상무는 "인플레 악재 요인들이 잠재된 가운데 금리 인상을 늦추거나 아니면 반대로 너무 서두를 경우 경제에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환율전쟁도 내년 우리 경제의 복병이다.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신흥국의 자본유출입 규제'를 공식 인정한 만큼 각국은 여러 형태로 자본통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곧바로 통화전쟁으로 번질 공산이 크다.
차이나 리스크도 악재 요인이다. 중국이 추가 긴축에 나서면 당장 우리 경제에도 파장이 불가피하다. 특히 중국의 인플레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다분하다.
뿐만 아니라 내년에는 2012년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레임덕(임기 말 통치권 누수 현상)과 함께 정치권에서 포퓰리즘(대중 인기영합주의)이 극성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 내년 우리 경제 5대 리스크
ㆍ북 도발로 인한 남북관계 불안
ㆍ인플레 우려와 금리 인상
ㆍ글로벌 환율전쟁 재발
ㆍ중국 긴축과 차이나플레이션
ㆍ총선 1년 앞둔 포퓰리즘
남북 대치가 극한으로 치달을 경우 금융시장 충격은 물론 실물경제 악영향도 불가피하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잡은 내년 5%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한다.
19일 한국경제신문이 학계와 국책 및 민간 연구소 전문가 30여명을 대상으로 2011년 국내 경제를 위협하는 5대 리스크를 조사한 결과 북한 리스크가 내년 우리 경제의 첫 번째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남북 대치 국면이 내년에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유승경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 리스크는 더 이상 '양치기 소년'이 아니라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악재로 변해 경제 전반을 괴롭히는 최대 장애요인으로 부상할 소지가 크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 성장률을 5%로 제시한 것과 달리 민간 연구소들은 대부분 4%대 초반을 내놓고 있지만,북한 리스크가 확산되면 이마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내년 경제의 변수로 감안하지 않았던 북한 악재가 더해질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처럼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밑으로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내년 경제의 두 번째 리스크 요인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이다. 정부는 지난 14일 발표한 '2011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 수준에서 묶을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주변 여건을 보면 결코 녹록지 않다.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 장기화와 미국의 양적완화 등에 따른 유동성 팽창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악재 요인들도 잠복해 있다. 일각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도 거론한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상무는 "인플레 악재 요인들이 잠재된 가운데 금리 인상을 늦추거나 아니면 반대로 너무 서두를 경우 경제에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환율전쟁도 내년 우리 경제의 복병이다.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신흥국의 자본유출입 규제'를 공식 인정한 만큼 각국은 여러 형태로 자본통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곧바로 통화전쟁으로 번질 공산이 크다.
차이나 리스크도 악재 요인이다. 중국이 추가 긴축에 나서면 당장 우리 경제에도 파장이 불가피하다. 특히 중국의 인플레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다분하다.
뿐만 아니라 내년에는 2012년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레임덕(임기 말 통치권 누수 현상)과 함께 정치권에서 포퓰리즘(대중 인기영합주의)이 극성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 내년 우리 경제 5대 리스크
ㆍ북 도발로 인한 남북관계 불안
ㆍ인플레 우려와 금리 인상
ㆍ글로벌 환율전쟁 재발
ㆍ중국 긴축과 차이나플레이션
ㆍ총선 1년 앞둔 포퓰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