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도발] 北 "고농축 우라늄 시설 가동"…유엔 안보리는 추가제재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중국 압박하는 美·유엔 … 노동신문, 첫 공식 확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9일(현지시간) 북한의 대규모 고농축 우라늄(HEU) 시설 가동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추가 대북 제재 방안을 검토했다. 핵 관련 기존 대북 결의안의 이행을 점검하는 대북제재위원회의 보고를 겸한 이날 회의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북한의 원심분리기 우라늄 농축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
수전 라이스 미국 유엔대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은 안보리 제재 결의 1718호와 1874호를 위반한 것"이라며 "안보리는 이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대북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포함해 적절한 대응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라이스 대사의 이 같은 언급은 북한에 대한 새로운 결의안 또는 의장성명 채택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유엔 관계자들은 해석했다.
마크 라이얼 그랜트 영국 대사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과 관련한 안보리의 논의 내용을 언론에 알려야 한다"며 대언론 브리핑을 제안했다. 중국 측은 그러나 "본국의 훈령을 받지 못했다"며 반대 입장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수천대의 원심분리기를 갖춘 현대적 우라늄 농축공장이 돌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평화적 핵에네르기(에너지) 개발 이용은 세계적 추세'라는 제목의 글에서 "현재 조선에서는 경수로 건설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고 그 연료 보장을 위해 우라늄 농축공장이 돌아가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노동신문은 이어 "조선이 주체적인 핵동력 공업구조를 완비하기 위해 자체 경수로 발전소 건설로 나가는 것은 국제적인 핵에너지 개발이용 추세에 전적으로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을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북한의 연평도 포격 문제를 안보리 정식 의제로 채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 조율이 있었다.
하지만 중국이 안보리 회부에 난색을 보이면서 논의는 진전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어떤 상황 변화도 없으며,예측도 어렵다"며 "안보리 내부 논의를 지켜보면서 어떤 것이 국가적 이익에 부합하는지 판단해 우리 정부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
수전 라이스 미국 유엔대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은 안보리 제재 결의 1718호와 1874호를 위반한 것"이라며 "안보리는 이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대북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포함해 적절한 대응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라이스 대사의 이 같은 언급은 북한에 대한 새로운 결의안 또는 의장성명 채택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유엔 관계자들은 해석했다.
마크 라이얼 그랜트 영국 대사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과 관련한 안보리의 논의 내용을 언론에 알려야 한다"며 대언론 브리핑을 제안했다. 중국 측은 그러나 "본국의 훈령을 받지 못했다"며 반대 입장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수천대의 원심분리기를 갖춘 현대적 우라늄 농축공장이 돌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평화적 핵에네르기(에너지) 개발 이용은 세계적 추세'라는 제목의 글에서 "현재 조선에서는 경수로 건설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고 그 연료 보장을 위해 우라늄 농축공장이 돌아가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노동신문은 이어 "조선이 주체적인 핵동력 공업구조를 완비하기 위해 자체 경수로 발전소 건설로 나가는 것은 국제적인 핵에너지 개발이용 추세에 전적으로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 가동을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북한의 연평도 포격 문제를 안보리 정식 의제로 채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 조율이 있었다.
하지만 중국이 안보리 회부에 난색을 보이면서 논의는 진전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어떤 상황 변화도 없으며,예측도 어렵다"며 "안보리 내부 논의를 지켜보면서 어떤 것이 국가적 이익에 부합하는지 판단해 우리 정부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