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 태국 · 페루의 중앙은행이 단기투기자금(핫머니) 규제 방안을 내놓은 데 이어 인도 중앙은행도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과 일본의 연이은 유동성 확대에 따라 자금이 신흥국가들로 쏠리면서 자국의 통화가치가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RBI)의 두부리 수바라오 총재는 지난 주말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패널 토론에 참석해 "자금 유입이 거시경제 상황을 악화시킬 경우 외환시장에 개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만약 우리가 개입한다면 유동성 상황이 실물경제 움직임과 일치되도록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 중앙은행 당국자가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이달 들어서만 두 번째다. 지난 6일 수비르 고칸 RBI 부총재도 "전 세계 시장의 유동성이 인도와 같은 신흥국가들로 쏠려 위협이 된다"며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을 분명하게(clearly) 고려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수바라오 총재는 "아직은 (외환시장에 개입할) 필요를 찾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몇 달 동안 신흥시장에 자금이 밀려들면서 일부 국가의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했다"며 "개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은 (루피화 가치 상승을) 흡수할 수 있는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인도로 유입된 197억달러(약 22조원) 중 3분의 1이 글로벌 환율전쟁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지난 9월 한 달 동안 들어왔다. 이에 따라 인도 루피화 가치는 지난달에만 달러 대비 5% 넘게 올라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