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프리보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코스닥 시장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증자 한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노희진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26일 "프리보드 시장은 코스닥 시장과 차별성 없이 진입요건만 낮은 부실시장으로 인식되면서 유망기업의 진입 기피를 초래했다"며 "프리보드 지정기업의 코스닥 시장 상장시 우대 혜택도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비효율적인 상대매매 방식으로 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매매가 체결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노 박사는 프리보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코스닥 시장과 연계를 강화하고,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한도를 확대하는 등의 기업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투자자 보호를 위해 진입 및 퇴출 요건을 강화하고, 공시기능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주식양도차익의 비과세 범위를 확대하고, 증권거래세율을 코스닥 시장(0.3%) 수준으로 인하하는 것도 프리보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는 금융투자협회와 김용태 한나라당 국회의원이 공동 개최했고, 참석자들은 시급한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도 프리보드 활성화를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프리보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량 중소기업들이 프리보드로 오고 싶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부실기업도 과감히 퇴출해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진 위원장은 "청년 일자리 문제를 취업으로만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다시 한번 제2의 벤처 창업붐으로 우리 경제에 에너지를 솟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건호 금융투자협회장도 "벤처기업의 자금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자본시장을 통해 자금을 동원하는 프리보드와 같은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태 의원은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데 프리보드 시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각에 놓여 있는 벤처 창업가들을 지원하는 프리보드 시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프리보드 시장은 금융투자협회가 초기 성장 단계에 있는 비상장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기 우해 개설한 장외시장이다.

지난 2005년 7월 개설됐으며, 개설 초기 한때 184사까지 지정됐으나 이후 벤처기업에 대한 기대 하락, 지정해제 요건의 강화 등으로 지정기업수와 자본금 규모가 감소했다. 8월20일 현재 64개 기업이 지정돼 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