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단지 입주 중소기업에 대해 전기자동차, 신 · 재생에너지 분야 등의 유망 아이템 발굴과 업종전환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전국 산업단지의 클러스터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김경수 지식경제부 지역경제정책관(사진)은 16일 "내년부터 남동산업단지 반월산업단지 등 전국 산업단지 내에 신산업 아이템 발굴 미니클러스터(mini-cluster · 이하 미클),업종전환 미클 등을 만들어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템 발굴과 업종전환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 · 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나노 바이오와 정보기술(IT)의 융합 등 신산업 분야 사업기회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나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대응하기 쉽지 않다"며 "수요기업을 미클로 묶고 여기에 관련 연구소 대학 지원기관을 결합시켜 새로운 사업아이템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업종전환도 마찬가지다. 기존 업종으로는 한계에 닥친 중소기업들이 새로운 유망업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활동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클러스터는 일정한 공간에 산 · 학 · 연(産學硏)과 지원기관이 모여 문제를 찾아내고 이를 해결하는 산업집적지 및 이들의 활동을 말한다. 미클 활동에 대해 기존의 연간 600억원대 자금제공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기술개발 예산을 연계시켜 다양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2004년부터 시작된 클러스터 활동 결과 참여업체가 약 5000개로 급증했고 미클당 평균 참여인원도 2005년 55.2명에서 2009년엔 98.2명으로 증가했다. 이들 활동을 지원한 산업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증가율도 전국 산업단지 평균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미클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업종별 클러스터에서 한발 나아가 신산업 아이템 발굴과 사업전환 활동 등 새로운 분야의 미클 활동이 긴요하다고 김 정책관은 설명했다.

그는 "기존의 기술융합 활동을 통해 신제품 개발 사례도 많이 나오고 있으나 최근 신산업이 속속 생겨남에 따라 이들의 부품과 소재 등 신산업 아이템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관은 "클러스터 사업은 특정 가입업체만 혜택을 받는 사업이란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 미클 참여기업을 회원제에서 개방형으로 바꿔 더 많은 기업이 이 활동에 참여토록 유도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김 정책관은 "미국의 실리콘밸리, 스웨덴의 시스타, 핀란드의 오울루 등 세계 각국이 클러스터를 통해 기업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며 "미니클러스터 지원을 통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제고시킬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낙훈 중기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