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지만 해킹 등 보안 위협이 커지면서 각국에 비상이 걸렸다.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공무원들에게 보안에 취약한 스마트폰 사용을 중지시키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독일 정부는 9일(현지시간) 아이폰과 블랙베리폰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공무원들에게 해당 스마트폰의 사용을 금지했다고 밝혔다. 독일 정부는 블랙베리로 주고받는 모든 정보가 기기 제조업체인 리서치 인 모션(RIM)의 영국과 캐나다 서버 두 곳으로 직접 전송된다는 점에서 이 기기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전산망이 공격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림은 스마트폰 제조사로는 이례적으로 서비스 안정성을 이유로 문자메시지 이메일 인터넷검색 등의 정보를 자사 서버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보 내용이 암호화된다. 이 때문에 국가 기밀 외부 유출 등의 보안 사고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것이 독일 정부가 공무원들의 블랙베리 사용을 금지한 이유라는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이에 앞서 유럽연합위원회(EC)는 보안 문제를 들어 3만2000여 직원의 업무용 휴대폰에서 블랙베리를 제외했다. 아랍에미리트 인도 쿠웨이트 등도 비슷한 조치를 추진 중이다. 올초 청와대도 직원들에게 스마트폰을 나눠줄 계획이었으나 보안 문제 때문에 철회했다.

블랙베리뿐만이 아니다. 애플 앱스토어,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 오픈마켓에서 공짜로 앱(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았다가 해킹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PC로 프리웨어 등 공짜 소프트웨어를 설치했다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해킹당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미국 보안업체 룩아웃은 최근 30만개의 스마트폰 무료 앱을 분석한 결과 무려 10만개의 앱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동의 없이도 사용자 신상정보,위치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안 전문가들은 현재 퍼지고 있는 악성 앱들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문자메시지 등 민감한 정보를 유출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앱 개발자가 악의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한다면 스마트폰의 각종 개인정보가 통째로 해커 손아귀에 넘어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악성코드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PC처럼 보안의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천 하우리 회장은 "스마트폰 사용자들 스스로가 보안 위협에 대처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영태/이유정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