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창] 녹색기술 투자의 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정부는 2008년 1조4000억원이던 녹색 연구개발(R&D) 예산을 2013년 3조5000억원으로 2조1000억원 늘리고 2차전지,미래 원자력,발광다이오드(LED) 등 10대 기술을 중점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녹색R&D 분야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이며,핵심기술력 또한 수입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정부가 중요성을 인식하고 집중적인 투자와 지원을 펼치면서 몇몇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2차전지가 좋은 예다. 그동안 세계 2차전지 시장에서 일본 업체의 점유율은 독보적이었다. 2005년 시장조사기관인 일본 인터내셔널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IIT)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점유율은 40%,우리나라 기업은 20% 미만 수준이었다. 그러던 것이 불과 5년 만에 현재 두 나라가 거의 비슷한 수준에 올라 있으며,올 연말께는 우리나라가 1위에 올라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비슷한 예는 핵융합 연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국형 핵융합실험로 KSTAR은 1990년대 초부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순수 우리기술로 개발에 성공했다. 핵융합은 선진국들이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이다. 우리나라는 KSTAR 개발을 통해 국제협력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녹색기술 경쟁에서 순수 자체기술개발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한국의 핵융합 연구개발은 앞을 내다본 정부의 꾸준한 투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올해 핵융합은 기초연구,원천기술,거대과학,원자력 분야 등 총 12개 사업 가운데 8번째로 낮은 예산 증감률을 기록했다. 우리나라가 원천기술을 획득할 수 있는 녹색기술임을 감안할 때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다. 세계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상용화까지 조금 시간이 걸린다 해도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우리나라는 지금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석유,석탄 등 화석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다. 핵융합에너지 개발로 에너지 수출국이 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면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미래 에너지강국 대한민국은 더 이상 공상 속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박주식 ITER 한국사업단 본부장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녹색R&D 분야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이며,핵심기술력 또한 수입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정부가 중요성을 인식하고 집중적인 투자와 지원을 펼치면서 몇몇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2차전지가 좋은 예다. 그동안 세계 2차전지 시장에서 일본 업체의 점유율은 독보적이었다. 2005년 시장조사기관인 일본 인터내셔널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IIT)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점유율은 40%,우리나라 기업은 20% 미만 수준이었다. 그러던 것이 불과 5년 만에 현재 두 나라가 거의 비슷한 수준에 올라 있으며,올 연말께는 우리나라가 1위에 올라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비슷한 예는 핵융합 연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국형 핵융합실험로 KSTAR은 1990년대 초부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순수 우리기술로 개발에 성공했다. 핵융합은 선진국들이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이다. 우리나라는 KSTAR 개발을 통해 국제협력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녹색기술 경쟁에서 순수 자체기술개발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한국의 핵융합 연구개발은 앞을 내다본 정부의 꾸준한 투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올해 핵융합은 기초연구,원천기술,거대과학,원자력 분야 등 총 12개 사업 가운데 8번째로 낮은 예산 증감률을 기록했다. 우리나라가 원천기술을 획득할 수 있는 녹색기술임을 감안할 때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다. 세계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기술 분야이기 때문에 상용화까지 조금 시간이 걸린다 해도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우리나라는 지금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석유,석탄 등 화석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다. 핵융합에너지 개발로 에너지 수출국이 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면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미래 에너지강국 대한민국은 더 이상 공상 속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박주식 ITER 한국사업단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