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높은 조합 모시려면"…재건축 이주비가 4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몸낮춘 건설사, 수주 출혈 경쟁
조합, 중견사 입찰 솎아내기도
조합, 중견사 입찰 솎아내기도
건설사들이 재개발 · 재건축 사업 수주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거액의 이주비 등 조합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개발 · 재건축 사업의 '출혈수주'가 우려된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들어 서울지역 재건축 · 재개발 조합들이 더욱 까다로운 시공사 선정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조합은 중견 건설사들의 입찰 참여를 아예 차단했고,가구당 4억원이 넘는 이사비와 이주비를 요구하는 조합도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 성북구 안암동 A재건축조합은 이달 초 입찰공고를 내면서 단독법인 건설사의 입찰 참여를 배제했다. 그룹 계열 건설업체만을 참여시키기 위해서다. 이 조합은 입찰 참여조건으로 "현재 그룹 계열사로서 2009년 재무제표기준 최대주주회사가 85% 지분을 보유한 업체"로 제한했다. 이로 인해 1차 공모에선 참여업체 조합측이 정한 기준(5개사)에 모자라는 4개사만 응찰,입찰이 무산됐다. 조합은 22일 2차 공고를 내고 현장설명회를 갖기로 했다.
유리한 입찰조건을 받아내기 위한 '솎아내기 입찰'에 이어 높은 무상지분율과 거액의 이사비 등 요구조건도 갈수록 까다로워지고 있다. 과거보다 30%포인트 이상 높은 무상지분율은 기본이고,4억원대의 이주비 · 이사비를 요구하는 조합도 늘고 있다.
지난 10일 시공사를 선정한 성동구 J재정비촉진구역과 마포구 S재건축정비구역에서 건설사들은 조합원 이주 지원액으로 4억원을 제시했다. 마포 S구역에서는 4000만원의 무상 이사비까지 등장했다.
마포 S구역 수주에 참여했던 건설사 관계자는 "조합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무리이긴 하지만 경쟁사들을 제치고 공사를 따내야 하기 때문에 들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대형 건설사들의 수주전이 치열했던 장위뉴타운에서는 평균 이주비가 3억원까지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저자세 퍼주기 수주'가 건설사들의 수익성 악화와 일반분양 물량의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두성규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주택 경기 활성화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지나친 무상지원에 나설 경우 금융비용 부담 가중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며 "조합에 제공된 무상지원 비용은 결국 일반 분양가에 고스란히 반영돼 집값 상승과 미분양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들어 서울지역 재건축 · 재개발 조합들이 더욱 까다로운 시공사 선정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조합은 중견 건설사들의 입찰 참여를 아예 차단했고,가구당 4억원이 넘는 이사비와 이주비를 요구하는 조합도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 성북구 안암동 A재건축조합은 이달 초 입찰공고를 내면서 단독법인 건설사의 입찰 참여를 배제했다. 그룹 계열 건설업체만을 참여시키기 위해서다. 이 조합은 입찰 참여조건으로 "현재 그룹 계열사로서 2009년 재무제표기준 최대주주회사가 85% 지분을 보유한 업체"로 제한했다. 이로 인해 1차 공모에선 참여업체 조합측이 정한 기준(5개사)에 모자라는 4개사만 응찰,입찰이 무산됐다. 조합은 22일 2차 공고를 내고 현장설명회를 갖기로 했다.
유리한 입찰조건을 받아내기 위한 '솎아내기 입찰'에 이어 높은 무상지분율과 거액의 이사비 등 요구조건도 갈수록 까다로워지고 있다. 과거보다 30%포인트 이상 높은 무상지분율은 기본이고,4억원대의 이주비 · 이사비를 요구하는 조합도 늘고 있다.
지난 10일 시공사를 선정한 성동구 J재정비촉진구역과 마포구 S재건축정비구역에서 건설사들은 조합원 이주 지원액으로 4억원을 제시했다. 마포 S구역에서는 4000만원의 무상 이사비까지 등장했다.
마포 S구역 수주에 참여했던 건설사 관계자는 "조합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무리이긴 하지만 경쟁사들을 제치고 공사를 따내야 하기 때문에 들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대형 건설사들의 수주전이 치열했던 장위뉴타운에서는 평균 이주비가 3억원까지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저자세 퍼주기 수주'가 건설사들의 수익성 악화와 일반분양 물량의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두성규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주택 경기 활성화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건설사들이 지나친 무상지원에 나설 경우 금융비용 부담 가중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며 "조합에 제공된 무상지원 비용은 결국 일반 분양가에 고스란히 반영돼 집값 상승과 미분양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