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재정 "물가 우려"…韓銀 총재와 한 목소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산자·수입물가 큰폭 상승…3분기 금리인상 확실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에 이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물가에 대한 우려를 잇달아 표명하고 나섰다. 오는 3분기 중 정책금리(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해졌다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
◆물가 어떻기에
윤 장관은 18일 "하반기 이후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경제연구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지 며칠 안 돼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또다시 표출한 것이다. 김 총재도 지난 10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하반기에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물가의 대표 척도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아직 높은 수준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한은이 목표로 내세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인데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2.3~2.7%(전년동월 대비)로 한은의 목표치 아래에 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에 앞서 움직이는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 상승폭이 최근 커지면서 앞으로 2~3개월 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 목표치를 웃돌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지난 4월 3.2%(전년동월 대비)를 기록한 뒤 지난달엔 4.6%로 뛰었다. 수입물가는 3월까지 마이너스를 유지했으나 4월에 5.1% 올랐으며 지난달엔 11.3% 치솟았다.
윤 장관은 물가가 불안한 이유로 △실제 국내총생산(GDP)이 잠재 GDP를 웃돌 것(GDP갭의 플러스 전환)이란 전망 △통화 유통속도의 상승세 확대 △생산자물가의 빠른 상승 등을 꼽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와 관련,GDP갭이 이미 지난 1분기에 플러스로 돌아섰다고 진단했다. 명목 GDP를 M2(광의통화)로 나눈 통화 유통속도는 지난해 1분기엔 0.696이었으나 올해 1분기엔 0.713으로 높아졌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반기 2.5%,하반기 2.7%로 예상했다. 하지만 한은과 정부 모두 하반기 수치가 이 같은 전망치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5%로 잡고 있으며 특히 4분기엔 3.7%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책금리 인상 빨라질 듯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금리 인상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그러나 △금리인상이 경기 회복세를 위축시킬 가능성과 △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을 고려,금리인상 시점을 계속 미뤄왔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완화되고 금리를 올리더라도 회복세에 타격을 주지 않는다는 판단이 서야 금통위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금통위에 비해 경기불안 가능성을 더 크게 우려해왔다. 기획재정부 차관이 금통위 회의에 참석해 열석발언권을 행사할 때마다 물가불안보다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경제회복세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윤 장관이 최근 물가불안 가능성에 대해 잇따라 우려를 표시한 것은 정부가 금리 인상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을 내비친 것이란 해석이다.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시기가 8월쯤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2분기가 지난 후 상반기 경제실적을 바탕으로 정책조정을 검토할 것"이란 윤 장관의 발언에 근거하고 있다. 7월 말에 나오는 2분기 GDP가 견조한 것으로 확인되고 물가상승 폭도 커진다면 8월 금통위에서 연 2.0%의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다.
윤 장관은 그러나 시장의 관측이 한쪽으로만 쏠리는 것에 대한 경계도 잊지 않았다. 그는 "금리인상만이 출구전략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물가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기관 요금 인상을 억제하고,공정거래위원회 등이 나서 서비스요금 안정을 도모하며,한은이 통화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등의 방법을 먼저 쓸 수도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물가 어떻기에
윤 장관은 18일 "하반기 이후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경제연구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지 며칠 안 돼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또다시 표출한 것이다. 김 총재도 지난 10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하반기에 물가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물가의 대표 척도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아직 높은 수준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한은이 목표로 내세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인데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2.3~2.7%(전년동월 대비)로 한은의 목표치 아래에 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에 앞서 움직이는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 상승폭이 최근 커지면서 앞으로 2~3개월 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 목표치를 웃돌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지난 4월 3.2%(전년동월 대비)를 기록한 뒤 지난달엔 4.6%로 뛰었다. 수입물가는 3월까지 마이너스를 유지했으나 4월에 5.1% 올랐으며 지난달엔 11.3% 치솟았다.
윤 장관은 물가가 불안한 이유로 △실제 국내총생산(GDP)이 잠재 GDP를 웃돌 것(GDP갭의 플러스 전환)이란 전망 △통화 유통속도의 상승세 확대 △생산자물가의 빠른 상승 등을 꼽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와 관련,GDP갭이 이미 지난 1분기에 플러스로 돌아섰다고 진단했다. 명목 GDP를 M2(광의통화)로 나눈 통화 유통속도는 지난해 1분기엔 0.696이었으나 올해 1분기엔 0.713으로 높아졌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반기 2.5%,하반기 2.7%로 예상했다. 하지만 한은과 정부 모두 하반기 수치가 이 같은 전망치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5%로 잡고 있으며 특히 4분기엔 3.7%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책금리 인상 빨라질 듯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금리 인상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그러나 △금리인상이 경기 회복세를 위축시킬 가능성과 △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을 고려,금리인상 시점을 계속 미뤄왔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완화되고 금리를 올리더라도 회복세에 타격을 주지 않는다는 판단이 서야 금통위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금통위에 비해 경기불안 가능성을 더 크게 우려해왔다. 기획재정부 차관이 금통위 회의에 참석해 열석발언권을 행사할 때마다 물가불안보다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경제회복세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윤 장관이 최근 물가불안 가능성에 대해 잇따라 우려를 표시한 것은 정부가 금리 인상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을 내비친 것이란 해석이다.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시기가 8월쯤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2분기가 지난 후 상반기 경제실적을 바탕으로 정책조정을 검토할 것"이란 윤 장관의 발언에 근거하고 있다. 7월 말에 나오는 2분기 GDP가 견조한 것으로 확인되고 물가상승 폭도 커진다면 8월 금통위에서 연 2.0%의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다.
윤 장관은 그러나 시장의 관측이 한쪽으로만 쏠리는 것에 대한 경계도 잊지 않았다. 그는 "금리인상만이 출구전략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물가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기관 요금 인상을 억제하고,공정거래위원회 등이 나서 서비스요금 안정을 도모하며,한은이 통화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등의 방법을 먼저 쓸 수도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