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만에 매출 1000억…굴착기로 이룬 '차이나 드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창호 제성유압 사장, 현지 94개사 부품 공급
비결은 끈기와 언어…국내서도 관련 회사 인수
비결은 끈기와 언어…국내서도 관련 회사 인수
중국에서 성공한 한인 기업이 국내 회사를 인수해 다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주인공은 중국 상하이에서 굴착기 부품을 만드는 제성유압유한공사.이 회사 이창호 사장(48 · 사진)은 상하이 한인사회에서 차이나드림을 일군 몇 안 되는 기업인으로 손꼽힌다. 그가 2004년 창업한 제성유압은 7년여 만에 매출 1000억원에 육박하는 중견기업으로 초고속 성장을 했다. 특히 이 회사는 거래 기업이 모두 중국 회사들이어서 국내 기업들의 중국 시장 공략 모범 사례로 거론될 만하다.
지난해 이 회사의 실적은 매출 580억원,순이익 65억원.올해는 중국 건설붐에 힘입어 1분기에만 3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이 사장은 "굴착기 관련 생산 제품을 점차 늘려 2015년에는 굴착기 완성품을 만드는 회사를 만들 생각"이라며 "이후 중국 선전 증시에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최근 인천 남동공단에 굴착기 부품 원재료를 공급하는 제성코리아를 세우고,굴착기 부품회사인 새롬기어도 인수했다.
이 사장이 중국과 첫 인연을 맺은 것은 1998년 현대중공업 주재원으로 발령을 받으면서부터다. 굴착기 애프터서비스(AS) 업무를 맡았던 이 사장은 중국 대륙 곳곳을 돌아다니며 시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당시에는 부동산으로 떼돈을 번 젊은 사업가들이 건설붐을 노리고 굴착기 회사를 만든 경우가 많았지요. 그러다 보니 돈은 많지만 기술 수준이 형편없었어요. "
이 사장은 처음부터 중국의 굴착기업체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고객사를 방문할 때마다 다른 회사들이 납품한 부품을 조립해주고 기술을 전수했다. "처음 본 사람에게 누가 물건을 사겠습니까. 그래서 물건을 팔기보다는 사업을 조언해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생산 및 품질 관리에 대해 여러 가지 얘기를 해주니 조금씩 마음을 열더군요. "
이 사장은 "고객사 중에서는 2004년부터 찾아갔는데도 2007년에야 첫 주문을 낸 회사도 있다"며 "요즘도 직원들에게 물건을 팔기보다는 고객들에게 도움을 줄 생각부터 하라고 주문한다"고 말했다. 그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던 점도 사업에 큰 도움이 됐다. 그는 "상대방을 알고 나를 보여줘야 서로 '관시'(친분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데 언어가 안 되면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이 창업할 당시 굴착기 시장에서 중국 토종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은 2%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시장점유율이 27%까지 올라왔다. 덕분에 제성유압도 매년 눈부실 정도로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제성유압은 현재 중국 굴착기 완성업체 94개사와 거래하고 있다. 중국산 굴착기에서 사용되는 조정제어바의 68%,주행모터의 65%를 이 회사가 공급하고 있다.
그는 중국에서 실패하는 한국 기업들에 대해 "사장이 시장을 알지 못하면서 한국에 앉아 현실과 동떨어진 지시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시장의 트렌드에 빨리 적응하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며 "중국도 남에게 맡겨서 성공을 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강조했다.
상하이=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
지난해 이 회사의 실적은 매출 580억원,순이익 65억원.올해는 중국 건설붐에 힘입어 1분기에만 3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이 사장은 "굴착기 관련 생산 제품을 점차 늘려 2015년에는 굴착기 완성품을 만드는 회사를 만들 생각"이라며 "이후 중국 선전 증시에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최근 인천 남동공단에 굴착기 부품 원재료를 공급하는 제성코리아를 세우고,굴착기 부품회사인 새롬기어도 인수했다.
이 사장이 중국과 첫 인연을 맺은 것은 1998년 현대중공업 주재원으로 발령을 받으면서부터다. 굴착기 애프터서비스(AS) 업무를 맡았던 이 사장은 중국 대륙 곳곳을 돌아다니며 시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당시에는 부동산으로 떼돈을 번 젊은 사업가들이 건설붐을 노리고 굴착기 회사를 만든 경우가 많았지요. 그러다 보니 돈은 많지만 기술 수준이 형편없었어요. "
이 사장은 처음부터 중국의 굴착기업체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고객사를 방문할 때마다 다른 회사들이 납품한 부품을 조립해주고 기술을 전수했다. "처음 본 사람에게 누가 물건을 사겠습니까. 그래서 물건을 팔기보다는 사업을 조언해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생산 및 품질 관리에 대해 여러 가지 얘기를 해주니 조금씩 마음을 열더군요. "
이 사장은 "고객사 중에서는 2004년부터 찾아갔는데도 2007년에야 첫 주문을 낸 회사도 있다"며 "요즘도 직원들에게 물건을 팔기보다는 고객들에게 도움을 줄 생각부터 하라고 주문한다"고 말했다. 그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던 점도 사업에 큰 도움이 됐다. 그는 "상대방을 알고 나를 보여줘야 서로 '관시'(친분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데 언어가 안 되면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이 창업할 당시 굴착기 시장에서 중국 토종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은 2%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시장점유율이 27%까지 올라왔다. 덕분에 제성유압도 매년 눈부실 정도로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제성유압은 현재 중국 굴착기 완성업체 94개사와 거래하고 있다. 중국산 굴착기에서 사용되는 조정제어바의 68%,주행모터의 65%를 이 회사가 공급하고 있다.
그는 중국에서 실패하는 한국 기업들에 대해 "사장이 시장을 알지 못하면서 한국에 앉아 현실과 동떨어진 지시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시장의 트렌드에 빨리 적응하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며 "중국도 남에게 맡겨서 성공을 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강조했다.
상하이=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