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訪中]"세자책봉 윤허굴욕" 김정은 동행 가능성 낮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에서 최대 관심사는 김 위원장의 후계자인 셋째 아들 김정은의 동행 여부다.
연합뉴스는 3일 이와관련, 김 위원장 부자의 동행방문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일단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고 보도했다.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지 불과 1년4개월 만에, 공식화 단계도 밟지 않은 상황에서 부자가 함께 방중할 경우 자칫 국제사회에 `세자 책봉을 윤허 받기 위한 굴욕'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 국가의 자존심을 훼손시키는 모습을 연출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 지도부는 국제사회의 제재와 고립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유일한 후원국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 기대고는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대중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정치.경제적 예속'을 크게 우려해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북소식통은 "김정일.정은 부자의 동행 방중은 청나라 때 세자 책봉 사실을 알리러 가는 것과 비슷한 꼴이 될 수 있는데 가능하겠냐"며 동행 가능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또 북한은 작년 하반기부터 전 주민을 상대로 김정은에 대한 홍보전을 펴면서도 그의 얼굴을 꽁꽁 감추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들에게도 알리지 않고 있는 `얼굴 없는 후계자'를 중국 지도부에 먼저 선보이는 것은 북한 내 주민 감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물론 과거 김 위원장도 1959년과 1965년 김일성 주석의 수행원으로 소련과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적이 있지만, 당시는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결정되기 훨씬 이전으로 신분은 순수하게 지도자의 아들이어서 현재 김정은의 위치와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오히려 김정은의 방중은 김 위원장의 후계자 시절 전례를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김 주석의 후계자로 공식 데뷔한 뒤 1983년 2인자인 당 조직.선전비서의 직책을 갖고 후야오방(胡耀邦) 당시 공산당 총서기의 초청을 받아 방중했다.
김정은도 후계자로 공인받는 절차를 밟은 뒤, 차기 실력자의 이미지와 지위에 걸맞은 직책을 부여받아 첫 외국방문이라는 나름 의미있는 형식을 갖춰 방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북한은 내부적으로 2012년 당대회를 열어 김정은 후계를 공식화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지만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이르면 노동당 창건 65주년인 올해 하반기나 내년으로 앞당긴다는 복안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수행원에 끼어 방중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김 위원장의 와병과 사후를 의식해 다급해진 북한 지도부가 일찌감치 김정은 후계체제를 굳히기 위해 중국 지도부와의 `친분 쌓기'를 명분으로 자존심을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이 동행하지 않는다면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기간 후계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언급할 지 여부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1982년 김 주석이 후계자였던 김 위원장의 방중에 앞서 베이징을 방문, 중국 지도부에 후계 결정을 통보했던 전례가 있다.
북한은 현재까지 중국 지도부에게 후계에 대해 공식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초 북한은 작년 5월 김정은 후견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성택 국방위원 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방중을 통해 은밀히 정은의 후계 내정 사실을 언급하려 했으나 중국 지도부와의 면담은 실현되지 못했고, 그후에는 중국측에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
연합뉴스는 3일 이와관련, 김 위원장 부자의 동행방문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일단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고 보도했다.
김정은이 후계자로 내정된 지 불과 1년4개월 만에, 공식화 단계도 밟지 않은 상황에서 부자가 함께 방중할 경우 자칫 국제사회에 `세자 책봉을 윤허 받기 위한 굴욕'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 국가의 자존심을 훼손시키는 모습을 연출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북한 지도부는 국제사회의 제재와 고립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유일한 후원국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 기대고는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대중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정치.경제적 예속'을 크게 우려해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북소식통은 "김정일.정은 부자의 동행 방중은 청나라 때 세자 책봉 사실을 알리러 가는 것과 비슷한 꼴이 될 수 있는데 가능하겠냐"며 동행 가능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또 북한은 작년 하반기부터 전 주민을 상대로 김정은에 대한 홍보전을 펴면서도 그의 얼굴을 꽁꽁 감추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들에게도 알리지 않고 있는 `얼굴 없는 후계자'를 중국 지도부에 먼저 선보이는 것은 북한 내 주민 감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물론 과거 김 위원장도 1959년과 1965년 김일성 주석의 수행원으로 소련과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적이 있지만, 당시는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결정되기 훨씬 이전으로 신분은 순수하게 지도자의 아들이어서 현재 김정은의 위치와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오히려 김정은의 방중은 김 위원장의 후계자 시절 전례를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김 주석의 후계자로 공식 데뷔한 뒤 1983년 2인자인 당 조직.선전비서의 직책을 갖고 후야오방(胡耀邦) 당시 공산당 총서기의 초청을 받아 방중했다.
김정은도 후계자로 공인받는 절차를 밟은 뒤, 차기 실력자의 이미지와 지위에 걸맞은 직책을 부여받아 첫 외국방문이라는 나름 의미있는 형식을 갖춰 방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북한은 내부적으로 2012년 당대회를 열어 김정은 후계를 공식화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지만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이르면 노동당 창건 65주년인 올해 하반기나 내년으로 앞당긴다는 복안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수행원에 끼어 방중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김 위원장의 와병과 사후를 의식해 다급해진 북한 지도부가 일찌감치 김정은 후계체제를 굳히기 위해 중국 지도부와의 `친분 쌓기'를 명분으로 자존심을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이 동행하지 않는다면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기간 후계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언급할 지 여부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1982년 김 주석이 후계자였던 김 위원장의 방중에 앞서 베이징을 방문, 중국 지도부에 후계 결정을 통보했던 전례가 있다.
북한은 현재까지 중국 지도부에게 후계에 대해 공식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초 북한은 작년 5월 김정은 후견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장성택 국방위원 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방중을 통해 은밀히 정은의 후계 내정 사실을 언급하려 했으나 중국 지도부와의 면담은 실현되지 못했고, 그후에는 중국측에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