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칸 패스트푸드 브랜드 타코벨이 한국 시장 재공략에 나선다.13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KFC코리아는 타코벨과 마스터프랜차이즈(MF) 계약 협상을 하고 있다.타코벨은 1991년 한국에 처음 진출했다. 당시 한국피자헛을 운영하던 동신식품이 글로벌 외식업체 얌브랜드 산하 타코벨을 들여왔지만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해 1990년대 중반 철수했다.이후 특수목적법인 M2G가 2014년 서울 이태원에 매장을 열면서 다시 한국 시장에 발을 들였다. 그러나 운영 성과가 나지 않자 얌브랜드는 새로운 파트너를 찾았고 2014년 당시 아워홈 자회사인 캘리스코를 복수 사업자로 맞았다.캘리스코는 아워홈 오너 일가의 경영권 분쟁 후 아워홈에서 독립했고, 현재 전국에서 11개 타코벨 매장을 운영 중이다. 당초 타코벨은 2020년까지 매장을 50개로 늘린다는 목표를 내놨지만 2019년 15개에 그쳤으며 지금은 더 줄었다. 복수 사업자인 M2G는 2018년 타코벨 사업을 종료했다.KFC와 타코벨은 모두 얌브랜드 산하 브랜드다. 미국에선 타코벨과 KFC를 한 건물에서 복합 매장 형태로 운영하는 사례도 있다. 업계에서는 KFC의 물류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을 활용하면 종전보다 빠르게 사업 확장이 가능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KFC코리아와 타코벨 간 MF 계약이 체결되면 캘리스코와 함께 복수 운영 사업자가 된다. KFC코리아는 사모펀드 오케스트라프라이빗에쿼티가 최대주주다.업계 일각에서는 타코벨이 국내에서 이른 시일 안에 가시적 성과를 내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타코벨은 KFC와 달리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가 약하다”며 “뚜렷한 차별화 전략을 내놓을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
서울시의 경쟁력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서울경제진흥원(SBA)이 동행사업 성과 공유 및 네트워킹을 위한 ‘SBA 동행人 함께 하는 날’ 행사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이번 행사에는 마포구청, 초록우산 어린이 재단, 사랑의 달팽이 등 협력기관과 153 패밀리,라인피알, 플레도 등 50여개 동행기업, 동행 프로그램 수혜자(아이리더, 첫살림 지원, 전문캐디 프로그램, 청년괴짜 인생버스 등)등을 포함 총 100여명이 참석했다.이번 행사는 서울시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발맞춰 사회문제 해결과 상생가치 실현을 위한 ‘공동 협력사업 모색’과 ‘동행人과의 협력 및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 ‘SBA만의 사회공헌 대표 네트워크 협의체’ 및 ‘동행人 정기 프로그램’을 구성해 동행기업 간 상생 협력 교류를 지속할 계획이다.서울경제진흥원의 ‘일자리 동행’, ‘CSR 동행’, ‘동행 네트워킹’ 활동 영상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동행기업 발굴 및 협력사업 현황을 소개했다. 대표 동행기업인 플레도의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현금 후원에서부터 사업 아이템을 활용한 재능기부까지 2023~2024년 SBA와 진행된 공동 협력사업을 알렸다.SBA 동행人 토크 콘서트는 ‘소통, 협력, 상생’을 주제로 김현우 SBA 대표이사와 동행기업 및 협력기관 관계자 총 3인 토크쇼로 진행됐다. SBA가 생각하는 ‘약자와의 동행’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CSR 활동’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굿워크랩 소속 유튜버 흑백리뷰의 개식사 및 SBA와 함께 성장하는 인재 발굴·육성을 주제로 한 샌드아트 공연도 진행됐다. 축
화장품업계에서 ‘맞춤형 화장품’이 새로운 유망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기술을 활용해 피부 타입 진단부터 제품 생산까지 전 과정을 개인 맞춤형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면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맞춤형 화장품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맞춤형 화장품 규모는 2020년 7억5300만달러에서 올해 29억7500만달러로 네 배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같은 기간 전체 뷰티 시장 규모가 30.4% 커진 점을 감안하면 맞춤형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두드러진다.과거 맞춤형 화장품은 판매원이 고객과 간단한 문답을 거쳐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판매됐다. 그러다 상담원이 설문조사와 진단기기 등을 활용해 과학적으로 피부 타입을 진단한 뒤 제품을 추천하는 형태로 점차 진화했다. 2020년대 이후에는 AI와 딥러닝 등 기술을 접목해 판매원이나 상담원의 도움 없이 고객 스스로 피부를 진단하면 알고리즘이 맞춤형 제품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형태로 발전했다.국내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화장품을 선보인 업체로 덕히알엑스가 있다. ‘K뷰티 로드숍 1세대’ 브랜드 스킨푸드 창업자인 조윤호 대표가 올해 설립했다. 이 회사의 맞춤형 화장품 판매는 얼굴 촬영→피부 타입 분석→결과 제공→스킨케어 추천 등 네 단계로 이뤄진다. 홈페이지 방문 고객이 휴대폰 등 카메라를 이용해 얼굴을 촬영하면 알고리즘이 인식한 얼굴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한 뒤 피부 타입을 분석한다. 이후 수분, 주름 등 11가지 피부 특성을 점수화한 결과값과 함께 최적의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시해준다.조 대표는 “과거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