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한 해외 10개 투자은행(IB)들의 성장 전망치 평균값도 지난해 말 5.0%에서 지난달 말 5.2%로 높아졌고 메릴린치 등 일부 IB는 6% 이상을 제시하기도 했던 터라 한은과 KDI의 전망이 특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한국보다 회복이 느린 미국도 지난 3월 비농업부문의 일자리가 16만2000개 늘어 2007년 3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함으로써 글로벌 경제에도 온기가 퍼지는 게 아닌가 하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전망치가 조금 높아진다고 해서 우리 경제가 확고한 회복세의 선순환에 들어섰다고 자신하기에는 불확실한 요인들이 너무 많다. 아직은 조금도 긴장의 끈을 놓을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올해 높은 성장률이 작년 성장률 0.2%에 따른 반등 효과라는 사실은 차치하고라도 성장의 큰 축을 담당하는 민간소비가 막대한 가계빚 부담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데다 원화가치 강세로 수출회복세도 언제 제동이 걸릴지 모르기 때문이다.
국제유가도 배럴당 86달러로 높아져 기업들에는 원가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반도체 자동차의 호전과 달리 조선 · 건설업은 불황의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해 경기회복세가 탄력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민간연구소들이 올 성장률의 흐름을 상고하저(上高下低)로 예상하며 하반기의 경기둔화 가능성에 더 주목하는 것도 이 같은 대내외 변수들에 대한 우려 탓이다.
게다가 일자리 창출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게 현실이다. 숫자상의 회복은 경기의 하방 위험에 대한 대비를 둔감하게 만드는 장밋빛 포장일 수 있음을 잊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