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증권은 25일 해외발(發) 악재로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지만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오히려 매수전략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양창호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긴축 움직임은 주식시장에 결정적인 악재가 아니고 미국 은행규제안 역시 단기 변동성 확대요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매우 당연한 수순이고 금리인상이 던지는 또다른 의미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인 만큼 '금리정상화'라고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은행규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다만 장기간 증시에 악영향을 줄 재료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양 애널리스트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개혁안이 나오자 국내 주식시장에도 치명적인 '위험자산 회피현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중국 긴축조짐이 예견된 변수라면 이번 오바마의 은행개혁안은 예상치 못했던 악재라는 측면에서 그 충격이 배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 개혁안대로 은행규제가 시작된다면 일부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도 각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매수는 23조원 규모였고 그 중 미국계 자금의 순매수 규모가 32%, 조세회지역으로 분류되는 지역의 순매수 비중이 31%였다는 것. 무리한 가정이지만 조세회피지역 자금이 통상 헤지펀드 자금이라는 점을 감안할 경우 최대 60%정도의 외국인 매수를 빼고 국내 주식시장을 꾸려가여 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하지만 유동성을 축소시킨 원인이 실물경제의 이상징후에 있지 않고 선제적인 위험관리를 위한 정부규제 때문이라면 아직 기대를 접을 때는 아니다"면서 "규제에 대한 논의는 순전히 미국의 '금융'에 대한 것이지 '실물경제'에 대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국의 긴축 움직임이나 미국 은행규제와 같은 정책들의 행간을 읽어보면 미국이나 중국이나 다시는 '버블'에 당하지 않겠다는 굳은 다짐을 드러낸 것"이라며 "이는 주식시장에 성장통을 가져올 수는 있지만 그 자체로 실물경제와는 무관한 얘기"라고 말했다.

양 애널리스트는 또 "증시 격언 중에 가격의 노예가 되지 말고 가치의 주인이 되라는 말이 있다"면서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에 유의해야 겠지만 변동성이 커질 때만다 주식비중을 늘리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