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내 자산시장, 거품 가능성 내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의 주식·부동산시장은 전기의 가격 상승(또는 하락)이 다음 기에도 같은 방향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투자자들이 펀더멘털보다는 최근의 가격정보를 투자 기준으로 이용하는 경향 때문이다. 이같은 투자 경향은 결국 자산시장의 쏠림현상 또는 거품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김윤영 과장은 지난 1995년부터 지난해말까지 KOSPI 기준 주가지수와 1991년부터 작년말까지의 전도시기준 주택 또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해 '투자자의 시장심리를 반영한 자산가격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를 내놓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주식과 부동산시장 모두에서 '수량적 기준점효과(quantative anchor effect)'와 '처분성향효과(disposition effect)'등 투자자의 시장심리 요인이 자산가격수익률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줬다.
'수량적 기준점효과'란 가격이 일단 상승(또는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하면 한동안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최근의 가격정보를 투자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처분성향효과'란 가격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투자위험 또한 커질 것이라는 불안감으로 투자자들이 손실 확대를 막기위해 보유자산을 처분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특히 주식시장의 경우 투자자들은 최근 20영업일 또는 30영업일 동안의 주가변동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가수익률 변동이 일정수준(2.7%)을 웃도는 기간에는 처분성향효과가 수량적 기준점효과를 압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시장에서는 최근 2년 또는 3년 동안의 주택가격변동성이 투자자의 처분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우리나라 자산가격수익률은 원달러 환율, 미국주가, 경상수지 및 콜금리 등에도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며 "주가수익률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미국주가가 상승할 경우, 부동산가격수익률은 경상수지 흑자가 축소되는 경우 상승했으나 콜금리가 상승할 경우에는 하향 압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자산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산시장에 내재된 쏠림현상 가능성과 기간별 가격변동성을 고려하는 투자자의 시장심리 변화 등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는 투자자들이 펀더멘털보다는 최근의 가격정보를 투자 기준으로 이용하는 경향 때문이다. 이같은 투자 경향은 결국 자산시장의 쏠림현상 또는 거품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김윤영 과장은 지난 1995년부터 지난해말까지 KOSPI 기준 주가지수와 1991년부터 작년말까지의 전도시기준 주택 또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해 '투자자의 시장심리를 반영한 자산가격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를 내놓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주식과 부동산시장 모두에서 '수량적 기준점효과(quantative anchor effect)'와 '처분성향효과(disposition effect)'등 투자자의 시장심리 요인이 자산가격수익률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줬다.
'수량적 기준점효과'란 가격이 일단 상승(또는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하면 한동안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투자자들이 최근의 가격정보를 투자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처분성향효과'란 가격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투자위험 또한 커질 것이라는 불안감으로 투자자들이 손실 확대를 막기위해 보유자산을 처분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특히 주식시장의 경우 투자자들은 최근 20영업일 또는 30영업일 동안의 주가변동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가수익률 변동이 일정수준(2.7%)을 웃도는 기간에는 처분성향효과가 수량적 기준점효과를 압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시장에서는 최근 2년 또는 3년 동안의 주택가격변동성이 투자자의 처분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우리나라 자산가격수익률은 원달러 환율, 미국주가, 경상수지 및 콜금리 등에도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며 "주가수익률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미국주가가 상승할 경우, 부동산가격수익률은 경상수지 흑자가 축소되는 경우 상승했으나 콜금리가 상승할 경우에는 하향 압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자산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산시장에 내재된 쏠림현상 가능성과 기간별 가격변동성을 고려하는 투자자의 시장심리 변화 등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