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급속도로 약화되고 있어 우려가 크다. 산업연구원이 엊그제 내놓은 '고용측면 탈공업화 현상의 요인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분야 취업자 수는 1991년에 515만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7년에는 411만명에 머물렀다. 16년 만에 무려 100만명 이상 줄어든 셈이다.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상황에서 제조업 고용은 오히려 뒷걸음질을 하고 있으니 답답하기 짝이 없다.

물론 경제성장과 더불어 제조업 분야 일자리가 감소하는 이른바 '고용의 탈(脫)공업화'현상은 새삼스런 것이 아니다. 우리 만의 문제가 아닌 것 또한 사실이다.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급속한 탈공업화 추세에다 노동생산성 향상, 국제분업화에 따른 산업구조의 고도화 등이 이런 현상을 부추기는 요인일 것이다. 얼마전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6년의 취업유발계수(10억원 투자시 직 ·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 조사에서 제조업은 10.2명에 그쳐 전체 산업의 평균치(15.3명)에 훨씬 못미친 것도 이런 추세를 뒷받침한다.

문제는 우리의 경우 제조업 일자리 감소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고 그로 인해 전반적 고용사정 또한 나빠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고용 없는 성장'이 더욱 고착화하면서 우리 경제의 활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녹색기술산업, 융합기술산업 등 신성장산업의 육성을 통해 제조업 기반을 보다 튼튼히 하면서 일자리도 함께 지켜내는 데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과제는 서비스산업을 획기적으로 육성하는 일이다. 생산합리화 등을 통해 국제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제조업의 특성을 감안할 때 일자리를 만든다 하더라도 어차피 그 규모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제조업에서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동안 서비스업에서는 46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난 점만 봐도 그런 필요성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장진입 장벽 등 각종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는 것은 물론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한 투자확대 등을 통해 서비스산업의 고용흡수 능력을 대폭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