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구상에 류우익·김무성 담을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정강화·화합카드 '적임자'… 여권내 입각설 제기에 고심
이명박 대통령이 개각을 비롯한 여권 개편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입각설이 나돌고 있는 류우익 전 대통령 실장과 김무성 의원이 뉴스메이커로 부상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실제 두 사람을 기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여권에선 본인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꾸준히 입각설이 나오고 있다. 류 전 실장의 컴백은 지난해 촛불시위에 밀려 불명예 퇴진했던 1기 청와대 참모들의 부활을,김 의원의 입각은 친박근혜 측과 화합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여권 내에서 류 전 실장의 복귀가 자주 거론되는 배경엔 그가 정권 중반기 힘 있는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기에 적임자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류 전 실장은 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충성심과 추진력이 강한 '복심'으로 평가 받는다. 그는 대선 때 이 대통령의 정책산실인 'GSI(국제전략연구원)'를 이끌었다. GSI는 이 대통령의 창조적 실용노선,한반도대운하 등 핵심 정책을 개발해냈다. 1기 때 물러났던 참모들 중 이미 복귀한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주호 교육부 차관 등과 호흡을 맞춰 이 대통령에게 힘을 보태야 한다는 게 여권 일각의 기류다. 국토해양부 및 교육부 장관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대운하의 밑그림을 그린 주역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4대강 살리기와 맞물려 대운하 논쟁이 다시 불 붙을 수 있다.
김 의원이 입각할 경우 정무장관직을 신설해 기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 관측이다. 여권에서는 "청와대가 최근 김 의원에게 입각 제의를 세 번이나 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그런 제의를 받은 적이 없다"며 강력하게 부인했지만 친박 인사들은 그가 입각과 관련해 고심이 크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친박입각설에 대해 지난달 이미 "친박 대표로 가는 것도,친박과 상의해서 가는 것도 아니다"며 "개인적인 일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김 의원으로서는 친박 내부의 찬반기류,박 전 대표와의 관계설정 등을 두루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와 친박 진영 간 큰 틀의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과감한 결정을 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홍영식/차기현 기자 yshong@hankyung.com
이 대통령이 실제 두 사람을 기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여권에선 본인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꾸준히 입각설이 나오고 있다. 류 전 실장의 컴백은 지난해 촛불시위에 밀려 불명예 퇴진했던 1기 청와대 참모들의 부활을,김 의원의 입각은 친박근혜 측과 화합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여권 내에서 류 전 실장의 복귀가 자주 거론되는 배경엔 그가 정권 중반기 힘 있는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기에 적임자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류 전 실장은 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충성심과 추진력이 강한 '복심'으로 평가 받는다. 그는 대선 때 이 대통령의 정책산실인 'GSI(국제전략연구원)'를 이끌었다. GSI는 이 대통령의 창조적 실용노선,한반도대운하 등 핵심 정책을 개발해냈다. 1기 때 물러났던 참모들 중 이미 복귀한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주호 교육부 차관 등과 호흡을 맞춰 이 대통령에게 힘을 보태야 한다는 게 여권 일각의 기류다. 국토해양부 및 교육부 장관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대운하의 밑그림을 그린 주역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4대강 살리기와 맞물려 대운하 논쟁이 다시 불 붙을 수 있다.
김 의원이 입각할 경우 정무장관직을 신설해 기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 관측이다. 여권에서는 "청와대가 최근 김 의원에게 입각 제의를 세 번이나 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그런 제의를 받은 적이 없다"며 강력하게 부인했지만 친박 인사들은 그가 입각과 관련해 고심이 크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친박입각설에 대해 지난달 이미 "친박 대표로 가는 것도,친박과 상의해서 가는 것도 아니다"며 "개인적인 일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김 의원으로서는 친박 내부의 찬반기류,박 전 대표와의 관계설정 등을 두루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와 친박 진영 간 큰 틀의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과감한 결정을 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홍영식/차기현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