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 억류돼 있는 자국 여기자 2명의 석방 교섭을 위해 어제 북한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그가 갖는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위상이나 과거 대통령 재임시 북한과의 관계개선에 적극 나섰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꽉 막혀 있는 북미간,남북간 대화의 돌파구(突破口)를 마련할 수 있을지 지대한 관심을 갖고 지켜보지 않을 수 없다.

물론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은 '여기자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적 방문'으로 정치적 현안과는 무관하다는 것이 미국 정부 입장으로 알려진 만큼,이를 곧바로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나아가 북미간 양자대화로 연결짓기는 성급한 측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지난 1994년 제1차 북핵위기 당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전격 적인 방북으로 북미간 첨예한 대결국면이 협상구도로 바뀌었던 전례가 있고 보면 경색된 북미관계 반전의 계기로 해석될 소지가 큰 것도 사실이다.

이번 클린턴의 방북을 통해 어떤 형태로든 북미대화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면 한반도와 주변의 국제정세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오게 될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미 정부는 이미 북한의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를 전제로 북미관계의 정상화를 비롯한 경제 · 에너지 지원 의사를 천명한 상태다. 클린턴의 방북 이후 미국과 북한은 관계개선의 새로운 협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북미관계가 대화국면으로 진전된다면 이는 남북관계에도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게 분명하다. 북미관계 변화에 따른 남북관계의 대응책 마련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이유다. 우리로서도 여전히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개성공단 문제를 비롯해 북에 장기간 억류 중인 근로자 유씨와 최근 나포된 어선 문제 등 현안들이 쌓여있는 마당이고 보면 남북간 긴장해소의 계기 마련이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중요한 것은 북미관계 또한 북핵해결을 위한 6자회담 등 기존 국제질서의 틀안에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인도적 사안인 여기자 문제와 핵 문제는 분리되어야 하고,북미 양자 대화 또한 남북관계 개선이 반드시 전제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