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총 자산에서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IMF 외환위기 이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 비해서도 현저히 높은 수준이며, 특히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주택 부실에서 기인했다는 점에서 자산 쏠림 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고희채, 박수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들은 예금보험공사의 '금융안정연구' 최근호에 실린 논문을 통해 "IMF 구제금융기를 거치면서 총자산에서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주택자산과 부동산자산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1998년 가계 총자산에서 금융자산 비중은 21.7%였으나 2004년에는 15.9%로 낮아졌다. 반면 실물자산의 경우 같은 기간 78.3%에서 84.0%로 크게 증가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금융자산 보유 비중은 40~60% 수준에 달해 우리나라가 실물자산에 과도하게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원들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 가계는 금융자산보다 주택 및 부동산 자산에 우선 순위를 두었고, 주택가격 상승 폭이 금융자산 상승 폭보다 훨씬 높은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1998~2004년 기간 중 명목 주택자산 시가는 연평균 9.6%씩 상승했으며, 특히 2002년에는 37.0% 폭등한 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집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IMF 구제금융기 이전보다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들은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이자비용 급증으로 소비를 증가시키는 자산효과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면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주식 등과 같은 금융자산 비중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가계자산 구성을 금융자산으로 다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정책당국이 구상해야 하며, 금융체질 개선 및 예금보호제도 등에 대한 점검을 총체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라는 주장이다.

단 실물자산 비중이 높기 때문에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금융자산에 비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근로소득에 따른 효과는 부자들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로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는 0.3~0.5% 증가하는데, 3분위 저소비계층이 가장 높은 계수값을 가지며 9분위가 가장 낮은 값을 보인다는 것이다.

연구원들은 "일반적으로 부자일수록 한계소비성향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소득분배의 균등화는 수요 증대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오바마 신행정부가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산층과 근로자층에게 세금 환급을 통한 소비 촉진 활성화를 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