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이공계 박사 수 적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국내 이공계 박사수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적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이공계 박사 가운데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 중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우리나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개 회원국의 이공계 박사 현황을 비교 분석한 ‘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노동인구(15세 이상 64세 이하) 1000명당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과학기술분야 박사수는 3.5명이라고 25일 발표했다.이는 스위스(22.8명)의 15.4%,미국(8.6명)의 40.7%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또 노동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수는 2000년 4355명에서 2006년 5517명으로 증가했지만 2006년 기준 노동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 비중은 0.016%로 16개국 평균인 0.018%에 미치지 못했다.
연구원은 또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의 여성 박사 비중은 23.7%로 비교대상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OECD국가들 중에서는 스페인(45.8%)이 여성박사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성 이공계 박사 가운데 3명 중 1명 이상이 비정규직에 재직,여성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우리나라 전체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17%로 비교대상 국가중 덴마크(23.3%),호주(20.4%),벨기에(20.2%),에스토니아(20.0%)에 이어 5위를 차지했지만 여성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36.3%로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김진용 KISTEP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성장동력이나 녹색성장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박사급의 우수한 연구개발인력이 필요하나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인력 수급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다”며 “우수인재의 이공계진학 촉진과 박사진학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는 또 “여성 고급인력의 육성을 위해 이공계 여대생 친화적인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출산 및 육아 등으로 발생하는 경력단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우리나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개 회원국의 이공계 박사 현황을 비교 분석한 ‘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노동인구(15세 이상 64세 이하) 1000명당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과학기술분야 박사수는 3.5명이라고 25일 발표했다.이는 스위스(22.8명)의 15.4%,미국(8.6명)의 40.7%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또 노동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수는 2000년 4355명에서 2006년 5517명으로 증가했지만 2006년 기준 노동인구 대비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 비중은 0.016%로 16개국 평균인 0.018%에 미치지 못했다.
연구원은 또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의 여성 박사 비중은 23.7%로 비교대상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OECD국가들 중에서는 스페인(45.8%)이 여성박사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성 이공계 박사 가운데 3명 중 1명 이상이 비정규직에 재직,여성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우리나라 전체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17%로 비교대상 국가중 덴마크(23.3%),호주(20.4%),벨기에(20.2%),에스토니아(20.0%)에 이어 5위를 차지했지만 여성 이공계 박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36.3%로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김진용 KISTEP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성장동력이나 녹색성장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박사급의 우수한 연구개발인력이 필요하나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인력 수급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다”며 “우수인재의 이공계진학 촉진과 박사진학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는 또 “여성 고급인력의 육성을 위해 이공계 여대생 친화적인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출산 및 육아 등으로 발생하는 경력단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