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총 이슈는 '사외이사 교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삭감ㆍ자본확충펀드도 논의
국내 은행들의 이사 진용이 새롭게 짜여지고 있다.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이 대거 물러나고 있는 반면 금융분야를 전공한 교수나 연구원 등이 새롭게 발탁되는 등 이달 말 주주총회를 앞두고 이사진이 대폭 교체되고 있다. 은행원의 임금 삭감 또는 반납 문제도 은행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신한금융지주가 지난달 열린 이사회에서 사외이사 11명 중 5명을 바꾼 데 이어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4일 이사회에서 7명의 사외이사 중 5명을 교체했다. 신한금융은 교수 2명, 우리금융은 교수와 연구원을 각각 1명씩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KB금융지주는 오는 27일 주총에서 올해로 임기가 만료되는 정기영 계명대 교수 후임으로 조재목 에이스리서치 대표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지주도 이번 주총 때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 3명을 포함해 상당수의 사외이사를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내 은행에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이 대폭 줄어들게 됐다. 금융감독원이 이해상충 가능성이 있는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을 교체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탓이다.
임금 문제도 은행권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지난 5일 상임간부 워크숍에서 18개 은행 노조 대표자들로부터 올해 임금단체 협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위임을 받았다. 금융노조는 일반적으로 6월이 지나 사측과 임단협에 들어가지만 올해는 잡 셰어링에 동참해야 한다는 내외부의 압력에 시달리면서 협상을 일찍 시작했다.
지난해 임금을 동결한 데 이어 올해는 임금을 반납하거나 삭감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점도 조기 협상으로 선회한 요인이다.
은행 경영진도 조급하기는 마찬가지다. 잡 셰어링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하는 상황에서 노조의 동의를 빨리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건비 부담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은행장들은 이달 중 금융산업 사용자협의회를 발족해 금융노조와 본격 협상을 벌일 계획이다. 현재 은행 경영진은 금융노조가 임금의 5% 이상 반납에 동의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1년 인건비 부담이 1조9000억원으로 5%만 줄여도 1000억원 가까운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
자본확충펀드 이용 여부도 쟁점이 되고 있다. 우리은행은 자본확충펀드 신청 한도인 2조원을 모두 이달 내에 사용할 방침이다. 하나은행은 신청 한도 1조5000억원 중 최대 1조4000억원만 수혈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주 중 각 은행별로 자본확충펀드 사용액을 접수해 은행별로 이용액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이 대거 물러나고 있는 반면 금융분야를 전공한 교수나 연구원 등이 새롭게 발탁되는 등 이달 말 주주총회를 앞두고 이사진이 대폭 교체되고 있다. 은행원의 임금 삭감 또는 반납 문제도 은행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신한금융지주가 지난달 열린 이사회에서 사외이사 11명 중 5명을 바꾼 데 이어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4일 이사회에서 7명의 사외이사 중 5명을 교체했다. 신한금융은 교수 2명, 우리금융은 교수와 연구원을 각각 1명씩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KB금융지주는 오는 27일 주총에서 올해로 임기가 만료되는 정기영 계명대 교수 후임으로 조재목 에이스리서치 대표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지주도 이번 주총 때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 3명을 포함해 상당수의 사외이사를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내 은행에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이 대폭 줄어들게 됐다. 금융감독원이 이해상충 가능성이 있는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들을 교체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탓이다.
임금 문제도 은행권의 최대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지난 5일 상임간부 워크숍에서 18개 은행 노조 대표자들로부터 올해 임금단체 협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위임을 받았다. 금융노조는 일반적으로 6월이 지나 사측과 임단협에 들어가지만 올해는 잡 셰어링에 동참해야 한다는 내외부의 압력에 시달리면서 협상을 일찍 시작했다.
지난해 임금을 동결한 데 이어 올해는 임금을 반납하거나 삭감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점도 조기 협상으로 선회한 요인이다.
은행 경영진도 조급하기는 마찬가지다. 잡 셰어링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하는 상황에서 노조의 동의를 빨리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건비 부담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은행장들은 이달 중 금융산업 사용자협의회를 발족해 금융노조와 본격 협상을 벌일 계획이다. 현재 은행 경영진은 금융노조가 임금의 5% 이상 반납에 동의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1년 인건비 부담이 1조9000억원으로 5%만 줄여도 1000억원 가까운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
자본확충펀드 이용 여부도 쟁점이 되고 있다. 우리은행은 자본확충펀드 신청 한도인 2조원을 모두 이달 내에 사용할 방침이다. 하나은행은 신청 한도 1조5000억원 중 최대 1조4000억원만 수혈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주 중 각 은행별로 자본확충펀드 사용액을 접수해 은행별로 이용액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