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과 한국노총이 어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 · 사 · 민 · 정 비상대책회의'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노 · 사 · 정은 물론 시민단체 학계 종교계를 총망라하는 기구를 구성해 일자리 나누기를 비롯한 고용안정대책, 실업자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같은 현안을 논의하자는 것이다.

바람직한 제안이다. 사상 유례없는 위기에 처해있는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지금 각 경제주체들의 단결과 상생협력만큼 절실한 과제는 없다.

대내외 경제여건의 급격한 악화로 기업들은 매출부진에 허덕이고 근로자들은 거리로 내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우리 경제의 젖줄이라는 수출은 두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번 제안은 갈등과 반목을 되풀이해온 노사대표단체들이 서로 힘을 합친다는 전제 아래 이뤄진 것이어서 더욱 긍정적이다.

노사간 고통분담을 통해 일자리 나누기를 본격 추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이야기다.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잡셰어링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해야 할 정도로 실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이고 보면 의미가 깊다.

따라서 경총과 한국노총은 선언적 수준에 그칠 게 아니라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적극 실천해 나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무엇보다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은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을 줄여주는 일이다. 기업들 또한 어렵기 짝이 없는 마당에 일방적으로 일자리 유지만 강요해서는 말이 안된다.

물론 적지 않은 기업들에서 고용유지를 조건으로 임금 삭감 또는 반납 운동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은 일부에 불과한 만큼 보다 널리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

특히 부풀대로 부푼 대졸자 초임을 적정 수준으로 억제하고 이를 고용확대 재원으로 활용하는 일은 대단히 시급하다. 일부 대기업과 은행 공기업 초임은 일본 동종업계를 웃돌 정도라고 하니 기업경쟁력 차원에서도 서둘러 고쳐야 할 과제다.

덧붙이자면 노동계 양대 축의 하나인 민노총도 비상대책회의에 동참해 힘을 합쳐야 한다. 또 시민단체 종교계 학계 등도 고통분담을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