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건설사 구조조정, 시장질서 회복 계기 돼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설사의 구조조정 명단이 그 윤곽을 드러냈다.
최종명단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은행권에 따르면 퇴출 1개사, 워크아웃 10개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공능력 20위권 이내 회사가 2개나 들어있을 정도여서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19일 증권시장에서는 구조조정 대상으로 알려진 기업들의 주가가 대부분 하한가로 치달았다.
또 이들 업체에는 하루 종일 사실 여부를 묻는 전화가 몰려오고 경영진들은 추후 대응책 마련에 분주했다는 후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구조조정 명단과 관련해 몇 가지 우려를 표한다.
첫째, 이번 명단이 과연 합리적인 기준에 의거했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채권단에서 지난 연말 협의를 통해 퇴출 기준을 마련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번 명단을 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채권은행별로 각자의 주관적인 기준이 상당 폭 개입됐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자신들이 관리하는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경우 추후 손해를 떠안을 수도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으리라.
이런 이유로 실제 구조조정 대상이 되는 C, D 등급에 포함된 기업은 처음보다 줄어들었다는 평가다.
C, D 등급으로 가야 할 부실기업들이 다시 살아나 또 다른 부실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에서는 주관적인 판단 기준을 버려야 함은 물론 구조조정 명단 선정 기준에 대해 합리적인 논리를 내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건설업체들의 반응이다.
일부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들은 자신들이 명단에 들어있을 리 없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신보다 못한 기업들이 왜 빠지고 자신들이 들어갔느냐며 물귀신 작전까지 쓰는 분위기다.
하지만 증권업계를 비롯해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명단이 일반적인 시장 컨센서스와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보고 있다.
해당 건설업체들은 받아들이기 힘들겠지만 어떤 결과이든 겸허히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나름대로들 내부 구조조정을 해 왔다지만 부족했을 수도 있다.
명단에서 빠진 것이 오히려 향후 더 큰 부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조속히 전력을 재정비해 새롭게 거듭날 수 있어야 하리라.
워크아웃 기업이라고 해서 다 퇴출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워크아웃을 회사 재도약의 계기로 삼은 앞선 사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당국은 인위적인 개입을 자제해 주길 바란다.
1차 구조조정 명단이 너무 적다며 추가로 몇 개의 기업을 더 넣으라는 주문을 했다는 얘기가 들린다.
이런 인위적인 개입은 오히려 올바른 시장 질서를 방해할 뿐이다.
이미 금융당국은 지난 해 건설사를 대상으로 대주단에 가입하면 상당한 혜택을 주겠다고 하다가 입장을 바꿔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이러한 일관성 없는 정책은 오히려 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올바른 구조조정을 방해할 뿐이다.
따라서 시장이 결정하는 방향을 존중해 그에 맞는 정책적 방향을 세워주기 바란다.
앞으로 갈 길은 멀다.
특히 다음 달부터는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던 100대 이하 건설사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구조조정 명단을 가릴 예정이다.
아무쪼록 이번 건설업계 구조조정이 16만 가구에 달하는 미분양이 난무하는 업계의 질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랄 뿐이다.
(조성진 한국경제TV 부동산팀장)